TIL 9/17

startas·2021년 9월 17일
0

TIL

목록 보기
1/21

시작

항해 시작 첫주차 시작부터 강의내용을 기반한 프로젝트 시작
함께한 팀원들과 첫날 부터 주제,기능 등을 기획하니 하루가 정신없이 지나가고 이래저래 정신없이 금요일이 되서 이제 TIL쓰기 시작한다.

오늘 TIL은 TIL 보다는 회고록에 가깝다.

TIL

이번주에도 jinja2,SSR,bulma 등 여러가지 기능들을 배우기는 했지만 기능공부 보다는 다른걸 적을려고 한다.
크게 느낌점은 항해 기간동안에 공부를 어떤방향으로 해야할까? 와 팀프로젝트를 할때 효율적인 방법은 어떤것 일까이다.

공부방향

이번주 내가 공부한 방법은 간단하게 말하면 뒤죽박죽이다.
첫날 기획단계에서 여러가지를 회의하다보니 강의에 대한시간투자가 부족하고 바로 만들려니 실력이 부족해서 진행이 안됬다. 그 다음 강의를 빨리 듣고 만들자 라고 생각하다가 지나가는시간과 초조한 마음에 강의대신 강의자료만 보고 만들려고 하다가 시간이 더긴거 같아 강의를 보고 개발에 들어갔다.

내가 지금 글로 쓰면서 뭔말을 하는건가 싶은데 현실은 더더더 무슨짓인가 싶었다. 이렇게 첫주를 날리고 나니까 일주일이 아깝게 지났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느낀점과 생각정리 이후에 공부 원칙을 정하려고 한다. 물론 원칙이라 해놓고 하다보면 바뀔거같긴하지만;;

  1. 강의를 우선
    1주일 단위로 과제가 있고 과제 난이도가 만만하지 않다. 기초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과제부터 만들려고 하다가 시간이 오히려 더 부족해 지는것 같다.
  2. TIL작성
    하루 많은시간동안에 여러가지를 보게되고 공부하게 되는데 뒤로가다보면 지금까지 한거 다 잊어먹을거 같으니 TIL로 복습하고 생각정리 하면서
    하루에 공부하고 찾아본것들을 정리해야 할것같다.
  3. 손부터 나가지말자
    기능구현할려고 하자마자 코딩부터 시작하면 만들다가 어떻게 하지 고민을 시작하게되면 안되고 처음에 어떻게 코드를 구성할건지 내가만들기능에 어떤게 필요한지 머리속에 정리 와이어프레임,마인드맵 등으로 생각하고 만드는 습관을 가지자.

프로젝트

첫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좋은분들 만나서 즐거운 일주일을 보냈지만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1. 우선순위 정하기
    다 만들어서 만납시다 보다 간단한거 부터 만들어서 서로가 테스트할수있게 하는게 중요하다. 제일 간단한거 부터 만들면서 해보자고 했지만 그걸로도 협업하기에는 너무 큰단위였다.
    ex)프론트단에서 css보다는 기능구현 위주로 빠르게 만들어서 백으로 주면 백에서 그 프론트단으로 테스트가능 (반대에 상황도 마찬가지)
    서로 만들고 확인할수록 버그가 많이 생기고 계속해서 확인해야되는 시간들이 생기기 때문에 진짜 최소한의 단위로 만들어서 서로 공유하고 맞춰가는게 중요한것 같다.
  2. 변수명,DB 정하기
    변수명을 정하고 그걸 원칙으로 무조건 지켜줘야 겠다고 생각했다. 먼저 정하고 시작했지만 시간적인문제,급한거 등등 으로 결국 정한것과 다른 변수명이 되기도 하고 다르게 쓰게 되는경우 수정해야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ㅠ
  3. 상대방의 역량(?) 파악하기
    상대방이 어떤함수 스택을 사용하는지 실력이 어느정도 인지는 파악을 잘해야 잘하는 사람과 따라가는 사람의 차이를 어느정도 매꿀수 있을 것 같다.

나름 처음이고 잘써볼려고 노력했지만 생각으로 갖고있는말을 잘 정리해서 쓰기가 쉽지않다.
다음주 부터는 주특기 시작인데 다음주에는 이번주 보다 훨씬 나은 일주일을 보내야겠다.

profile
일기장으로 시작해서 정보공유가 될 때까지!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