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jpa.open-in-view: true (default)\-> 장점 : API호출이 끝나는 시점까지 커넥션을 들고있어서(영속성 컨텍스트가 살아있어서) 컨트롤러 또는 view단에서도 LAZY로딩이 가능하다. \-> 단점 : 커넥션을 계속 들고있게되면 로직이
이 글의 배경 JPA를 사용하면서 필드중 하나를 enum타입으로 사용하려고 했다. 위는 ServerType이라는 enum클래스이다. code와 desc 두 개의 필드를 가지고있고, 현재 DB의 컬럼에는 code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DB에 저장할 때도 code로
상속관계 매핑 관련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