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능이란? >
새로운 대상이나 상황에 부딪혀 그 의미를 이해하고
합리적인 적응 방법을 알아내는 지적 활동 능력
-> 인간은 늘 실수를 하고 그 실수를 통해 배우며 발전함
또,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함
하워드 가드너 Howard Gardner (1943~)
하버드 대학교의 심지 학자 교수이자 인지과학 및 교육심리학자
(IQ 만으로 사람의 지능 판단하는 것 비판)
사람은 각기 타고난 재능이 모두 다르며 어떤 분야에서든 강점을 보이는 분야가 있다.
'능력이 없는 사람은 없다'라는 가치관 -> 자기 스스로 자신의 강점을 파악해야 한다
다중 지능 이론
: 인간에게는 우월적인 중요성을 갖는 여러 가지 지능이 내재하고 있다는 교육 이론
인간은 단순하지 않으며 다양한 지능을 타고남
하워드 가드너의 9가지 다중 지능
인간의 뇌는 지능의 가장 핵심 역할 수행
- 몸의 움직임과 행동 관장
- 신체의 항상성 유지
- 인지, 감정, 기억, 학습 기능 담당
< 인공지능이란? >
: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지능을 가진 실체,
그것을 만들고자 함으로써 지능 자체를 연구하는 분야
(인간의 뇌의 학습과 추론 모방)
-> 생각하고 배우고 이해하고 판단하는 인간의 지능 원리를 찾아
인공적으로 만들어 낸 것
(학습, 추론, 언어 이해 능력 등에 대한 원리 찾고 컴퓨터에서 구현)
인공지능
머신러닝 (ML, 기계학습)
딥러닝 (DL, 머린 러닝에 속해 있음, 심층학습)
인공지능이 발달할 수 있었던 이유
-> 많은 연산속도를 버틸 수 있는 컴퓨터의 발전
인간/인공지능 개념
학습 (Training)
추론 (Inference)
ex) 어린아이에게 고양이 사진을 보고
고양이라고 말할 수 있게 하려는 상황
일반적인 학습 기법인 '시행착오'로
정답에 대한 예측 수행하여 틀린 경우 접근 방식 조정
-> 인공지능과 흡사함
시행착오
: 사람들끼리 생각의 오류 줄이기 위해 만듦
->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의미하는
기존의 알고리즘들을 이룸
지능이 생기기 위해
학습과 추론 반복
뜨거운 것을 만진 경험 학습
만지지 않겠다(뜨겁겠다)는 추론
추론이 맞을 때도 있고, 틀릴 때도 있음
-> 추론의 결과 반복 학습 & 지능 만듦
만들어진 지능을 인공지능에서는 모델(model)이라고 함
우수한 모델 : 판단을 정확하고 오차 없이 해내는 인공지능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