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이어지는 아티클입니다.
해당 기능 사이에서의 오류는 결국 서로 다른 페이지에서 같은 기능 접근 시 하나의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에 대한 UX의 개선은 분석 페이지에서의 접근 시도를 메인 페이지에서의 접근과 동일하게 수정이 이루어지면 온전히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번 과제를 진행하면서 직전 분석 시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부족한 UX의 사례이다.
랜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영화 분류 이외에도 TV, 책, 웹툰 분류가 있다. 하지만 분석 기능에서는 영화에 대한 분석만 지원한다. TV, 책, 웹툰에 대한 분석 기능은 아직 지원하지 않아 서비스 출시 당시 지원했던 영화에 대한 분석 기능만 현재 가능한 상태다.
그리고 영화, 드라마는 영역이 유사하기 때문에 두 분류에 모두 감독, 출연한 인물들이 많다. 하지만 현재 영화 분석 기능에도 드라마 관련 기능은 없다. 이는 향후 TV 분석 기능 도입 시 드라마만 별개로 분석하거나 영화 분류와 함께 분석하는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영화, 드라마와 더불어 예능 프로그램에도 함께 출연하는 인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분석은 어떤 기준으로 진행할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다.
다소 조악한 분석 기능의 프로토타입이다. 책, 웹툰 분류는 기능 출시가 얼마 지나지 않아 아직 분석 기능을 도입하기에는 축적된 평점 데이터가 부족해 보인다. 하지만 TV 프로그램 분류는 충분히 데이터가 축적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입 시 영화, 드라마 부문을 병합, 분리할 지 논의가 필요하다. 이야기의 흐름을 따른다는 유사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능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분석 기능을 도입할 것인지 결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