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함수 : 기본으로 제공
사용자 함수 : 사용자가 직접 선언
내장함수
일반적으로 print, input
자료구조(list)에서 리스트.sort(), 리스트.reverse(), 리스트.clear()
사용자함수
: 특정 기능을 재사용하기 위해서 사용
def 함수명(매개변수):
기능선언
📋실습 : 정수 두 개를 입력하면 곱셈과 나눗셈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고 호출해보자.
round(변수, 자릿수) : 반올림
round(n1, 2)
: 반올림해서 둘째자리까지 표시.
📋실습 : 구구단 출력 함수가 연쇄적으로 호출되도록 함수를 선언해보자
: 2단 함수, 3단 함수, 4단 함수, 5단 함수 각각 선언 후
앞단이 끝난 후 다음단이 실행되도록 호출
함수 호출 시 데이터를 넘겨주자
함수 실행결과를 돌려주자
📋실습 : 사용자가 길이(cm)를 입력하면 mm로 환산한 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실습 : 1부터 100까지의 정수 중에서 홀수인 난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선언하자
: (파랑) def함수 안에서는 20인 것처럼 보이지만
(빨강) 밖에서 print 했을때는 10으로 출력됨.
안에서 20으로 써봤자 초기화되지 않음.
즉, (파랑)은 내부에서만 쓰이는 지역변수로 새로 선언된 셈.
: 안에서 20이라고 선언했지만, 밖에서는 출력이 안됨.
📋실습 : 사용자가 가로, 세로 길이를 입력하면 삼각형과 사각형의 넓이를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실습 : 방문객 수를 카운트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실습 : calculator()함수를 선언하고 calculator() 안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함수를 선언하자
(1)
def calculator(n1, n2):
returen n1 + n2
(2)
calculator = lambda n1, n2: n1 + n2
(1)과 (2)는 같다
📋실습 : 삼각형, 사각형, 원의 넓이를 반환하는 lambda함수를 만들어보자
.
.
.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취업스쿨 13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