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외란, 문법적인 문제는 없으나 실행 중 발생하는 예상하지 못한 문제이다 (에러)
: 예상하지 못한 예외가 프로그램 전체에 영향이 없도록 처리함.
: 나눗셈 부분만 try~except 구문으로 감싼다. 예외발생 부분만! 나머지는 냅둠!
📋실습 : 사용자로부터 숫자 5개를 입력받을 때 숫자가 아닌 자료형이 입력되면 예외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 정상적인 경우 except를 건너뛰고, else를 실행
: 예외가 발생하지 않았을 땐 따로 처리할 게 없다면, else구문 사용할 필요 없음 (필수 아님)
: 위의 예시는, try에서 숫자 입력 후 예외가 발생하지 않으면(정상적으로 숫자를 입력하면), else에서 짝/홀수를 구분해서 짝수를 입력하도록 해서, 짝수만 리스트에 추가하는 코드.
📋실습 : 사용자로부터 숫자 5개를 입력받아 짝수, 홀수, 실수로 구분해서 각각을 리스트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
📋실습 : 사용자로부터 숫자 5개를 입력받아 짝수, 홀수, 실수와 입력한 모든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except Exception as e: / print(e) : 에러 내용이 무엇인지 출력
raise 라이즈 키워드 : 예외를 발생시킨다 ⏳⏳⏳
📋실습 :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보낼때 10글자 이하면 SMS로 발송하고, 10글자를
초과하면 MMS로 발송하는 프로그램을 예외처리를 이용해서 만들어보자
📋실습 : 관리자 암호를 입력하고 다음 상태에 따라 예외 처리하는 예외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
.
.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취업스쿨 13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