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내 모든 유저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일을 한다.
게임 데이터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매우 다양하다.
어떤 문제를 판별할 때, 수학적 기반이 없이는 힘들다. 단순히 모델 사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깊게 모델에 대해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게임을 구성하는 4가지 (스토리, 메커니즘, 아트, 기술)
이중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게임 데이터 분석에서 핵심이 된다.
(게임의 메커니즘(규칙)을 통해서 유저의 플레이가 나오게 되기 때문에)
게임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로그 설계
유저의 플레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로그 설계를 해야한다.
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에게, 무엇을, 어떻게 등의 과정을 통해서 유저의 데이터를 습득하는 로그를 설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어느 사냥터에서 몬스터에게 기술을 사용하여 X의 데미지를 주었다 .. 를 설계)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분석에 사용한다.
무조건 많이 쌓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잘 쌓고 무엇을 분석할 것인지 잘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로그 시스템 설계는 총 4가지로 분류가 된다.
게임의 매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게임의 BM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BM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세 파트의 분석 방법을 알아보자.
첫 결제 시점 분석
게임 기획자의 기획 의도를 잘 파악하기.
플레이어는 진입(튜토리얼) - 집중(플레이, 성장) - 몰입(상위 컨텐츠, 지속적 플레이)
일반적으로 집중, 몰입 부분에 있어서 게임 기획자는 첫 결제 시점으로 선택한다.
레벨 별 매출 분석
자신의 허들에 따라서 자신에게 딱 맞는 물건을 구매하길 원하는 플레이어가 많이 있다. 그 허들을 해결하기 위한 캐시 상품을 업데이트도 하나의 방법.
특정 레벨에만 치우쳐져 있다면, 전체적인 난이도 조정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이템 별 매출 분석
자주 팔리는 아이템을 묶어서 판매하는 방법. 잘 팔리지 않는 물건을 수정하여 판매율을 높이는 방법.
####### 초반 이탈 분석 준비
우선 초반 이탈의 정의를 해야한다. 게임마다 다를 것인데, 위의 경우라면 게임 첫 실행 후 플레이 1일차 이내에 이탈하는 사용자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탈에는 많은 이유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과 대응이 중요하다.
초반 이탈 분석을 위해 네 가지 파트로 분류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HHcAZbPMgiY
https://www.youtube.com/watch?v=ge5fTjryzWk
https://www.youtube.com/watch?v=idsJmEP9cp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