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김민식·2022년 3월 28일
0

게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게임 내 모든 유저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일을 한다.

  • 특정 레벨에서 플레이할 컨텐츠가 부족해서 재미가 떨어지는지 등의 원일을 찾고 분석하는 역할.
  • 이상 유저 또는 현상을 탐지 및 분석하는 역할. 핵, 어뷰징, 버그, 작업장 매크로 등 각 유형에 맞게 이상 탐지 모델을 구현
  • 이탈(율) 원인 분석, 매출 분석, 콘텐츠 분석, 게임 유저의 행동데이터 분석

게임 데이터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매우 다양하다.

  • 파티, 길드와 같은 SNS 적 데이터
  • 거래 데이터
  • 사냥 데이터 ..

어떤 문제를 판별할 때, 수학적 기반이 없이는 힘들다. 단순히 모델 사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깊게 모델에 대해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게임 분석의 핵심

게임을 구성하는 4가지 (스토리, 메커니즘, 아트, 기술)

  • 메커니즘 : 게임 플레이하는 규칙

이중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게임 데이터 분석에서 핵심이 된다.
(게임의 메커니즘(규칙)을 통해서 유저의 플레이가 나오게 되기 때문에)
게임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게임의 목적, 게임의 규칙, 정규화 된 시스템, 상호 작용, 게임 컨텐츠, 게임 재화, 게임 자원(아이템), 성장

로그 설계
유저의 플레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로그 설계를 해야한다.
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에게, 무엇을, 어떻게 등의 과정을 통해서 유저의 데이터를 습득하는 로그를 설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어느 사냥터에서 몬스터에게 기술을 사용하여 X의 데미지를 주었다 .. 를 설계)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분석에 사용한다.
무조건 많이 쌓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잘 쌓고 무엇을 분석할 것인지 잘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로그 시스템 설계는 총 4가지로 분류가 된다.

  • 개체별 분류 : 플레이어, 캐릭터, 재화, 아이템, 장비, 스테이지
  • 액션별 분류 : 회원가입, 로그인, 렙업, 획득, 파괴 ..
  • 중요도에 따른 데이터 분류 : 경험치 획득, 레벨업, 재화 획득, 사용, 장비 파밍 ..
  • 로그 구조 확정 : 개체 관계도 확정, 분석 내용 그리기, 중요도 데이터 분류, 로그 구조 확정, 시스템 개발

게임의 매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게임의 BM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BM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세 파트의 분석 방법을 알아보자.

매출분석
  • 첫 결제 시점 분석
    게임 기획자의 기획 의도를 잘 파악하기.
    플레이어는 진입(튜토리얼) - 집중(플레이, 성장) - 몰입(상위 컨텐츠, 지속적 플레이)
    일반적으로 집중, 몰입 부분에 있어서 게임 기획자는 첫 결제 시점으로 선택한다.

  • 레벨 별 매출 분석
    자신의 허들에 따라서 자신에게 딱 맞는 물건을 구매하길 원하는 플레이어가 많이 있다. 그 허들을 해결하기 위한 캐시 상품을 업데이트도 하나의 방법.
    특정 레벨에만 치우쳐져 있다면, 전체적인 난이도 조정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아이템 별 매출 분석
    자주 팔리는 아이템을 묶어서 판매하는 방법. 잘 팔리지 않는 물건을 수정하여 판매율을 높이는 방법.

이탈분석
  • 초반 이탈이 많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저 이탈 3단계를 정한다고 해보자.
    초반(게임 플레이 1일차 이내), 중반(게임 플레이 한달 이내), 후반(게임 콘텐츠 구성 후반부)

####### 초반 이탈 분석 준비
우선 초반 이탈의 정의를 해야한다. 게임마다 다를 것인데, 위의 경우라면 게임 첫 실행 후 플레이 1일차 이내에 이탈하는 사용자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탈에는 많은 이유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과 대응이 중요하다.
초반 이탈 분석을 위해 네 가지 파트로 분류를 한다.

  • 사용자 세분화 : 국가, 스토어, 유입(광고채널). 각 그룹별 성향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초반 이탈률이 높은 그룹을 찾아서 대응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 디바이스 환경 : 디바이스 환경이 사용자의 게임 경험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탈률이 높은 디바이스가 있다면, 빠르게 업데이트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
  • CDN 패치 구간 : 게임 실행 후 패치 다운로드 시작, 완료 지점 파악. 패치 구간이 없는 게임의 경우는 제외할 수도 있다. 게임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구간이기 때문에 이탈 비율 측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 게임 플레이 초반 구간 세분화 : 회원가입, 튜토리얼 진입, 튜토리얼 완료. 이러한 과정속에서 어디에서 이탈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어떤 이슈로 이탈을 하는지를 구간 별 이탈 비율을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 초반 이탈 분석하기
  1. 디바이스 환경 이탈 분석
  2. 첫인상 이탈 분석 : 플레이 할 게임을 선택하기 위해 보게 되는 앱 스토어에서 시작하게 된다. 소개 영상, 소개 문구, 일러스트 등 각 단계에서 사용자 관점에서의 모든 인상들이 포함이 된다.
    첫인상 이탈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 스토어, 유입채널) + (CDN 패치 시작, 완료) + (회원가입 유/무) + (튜토리얼 완료 유/무) 와 같은 것들을 분석하면 간단하게 원인 파악을 할 수 있다.
  3. 초반 구간 이탈
    첫인상 분석, 튜토리얼 단계 분석, 초반 레벨 구간 검증 등을 통하여 초반 이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Reference

https://www.youtube.com/watch?v=HHcAZbPMgiY
https://www.youtube.com/watch?v=ge5fTjryzWk
https://www.youtube.com/watch?v=idsJmEP9cpQ

profile
Welcom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