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없이 개발활동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프로젝트나 과제를 하다보면 해치우는 식으로 코딩을 하게된다. 만약에 내가 A라는 기능을 맡았으면 이 기능이 돌아가기만 하면 되는 식으로 코딩을 하는거다. 거의 99% 구글링으로 이어붙여놓는 식ㅠ 어쨌든 동작만하면 된다는 식의 개발 경험이 많아지다보니 개발을 한다라기 보다는 그냥 타이핑 친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그래서 순수한 개발활동에 집중하고 싶었다. 물론 정해진 기간이 있고 개선해야할 이슈들이 있을거지만 좀 더 자유로운 형태로 개발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우선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프로젝트 코드를 이해해야하고 새로운 PR이 생기면 코드리뷰를 하면서 기존의 것에서 어떤 점들이 변경되는지 알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 자체가 개발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생각했다. 일단 코드를 뜯어보면서 이해하는 하는 과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대략 이런식으로 진행되고, 깃으로 협업하는 것과 크게 다른 점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