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정리 - 데이터 타입 및 변수 (2024.12.31)

수아·2024년 12월 31일
0

학습 정리

목록 보기
2/51

회고 리스트

1. 아스키 코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우리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다양한 문자를 사용하지만 컴퓨터는 0과 1로 된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다.
아스키 코드란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준화된 방법이다.

# 파이썬에서는 ord()와 chr()을 통해 아스키 값을 바꿀 수 있다.
print(ord('A'))	# 출력 : 65
print(chr(65))	# 출력 : A

2. print("1" + 1) 이 에러가 나는 이유와 11 이 출력되도록 수정하시오.

"1"과 1의 데이터 타입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이럴경우 "1"을 int("1")로 바꾸거나 1을 str(1)로 바꿔줘야 한다.

print("1" + str(1))

# "1"을 int("1")로 바꿀 경우 2로 출력됨

3. 변수 선언에 대해 설명하시오.

Python에서 변수 선언은 간단하다.
Java나 C언어에선 int, float 등으로 변수의 타입을 명시해줘야 하지만 Python에서는 자동으로 변수의 타입이 할당된다.
그렇기 때문에 선언할 때 반드시 초기화를 해주어야 한다.

# 변수이름 = 값
x = 10
y = "python"
bool = True

변수 이름 규칙 :
1. 알파벳, 숫자, 언더바(_)만 가능
2. 대소문자를 구분
3. 예약어는 사용 불가

4. 파이썬에서의 데이터 타입에 대해 설명하시오. (예습)

1. 기본 데이터 타입

  • 숫자형 (Numeric Types)
    • 정수 (int)
    • 실수 (float)
    • 복소수 (complex)
  • 문자형 (String)
  • 불리언 (Boolean)
    • 참(True)
    • 거짓(False)

2. 집합형 데이터 타입

  • 리스트 (List)
    : 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데이터의 집합
    :대괄호[] 사용

  • 튜플 (Tuple)
    : 순서가 있지만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의 집합
    :소괄호() 사용

  • 집합 (Set)
    : 순서가 없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 중괄호{} 사용

  • 딕셔너리 (Dictionay)
    : 키(key)-값(value)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
    : 중괄호{} 사용
    : 키는 고유하지만 값은 중복 가능
    : 키는 불변이지만 값은 변경 가능

  1. None 타입
    : '값이 없음'을 나타냄

  2. 기타

  • 바이트 (Bytes)
  • 바이트 배열 (Bytearray)
# type()을 통해 변수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x = 10
print(type(x))	# 출력 : <class 'int'>

5. 아래 코드를 완성하시오.

a = 10
b = 20

# a와 b의 값을 교환하는 코드를 완성하시오.
# (힌트) temp에 a의 값을 저장합니다.
# (힌트) a에 b의 값을 저장합니다.
# (힌트) b에 temp의 값을 저장합니다.

a = 10
b = 20 

temp = a
a = b
b = temp

# 힌트에 나온대로 하면 위와 같지만
# a, b = b, a
# 한 줄로 끝낼 수 있다는 걸 오늘 배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