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K 자격증 취득 후기 - 2025년 1월

괭이밥·2025년 1월 11일
1
post-thumbnail

📌 CKA 자격증 준비

아직 업무에서 kubernetes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 사용해야 할 일이 많으므로 공부 겸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했다.

자격증 준비하는데 총 2달(인터넷 강의 한달 반 + 기출문제 이주일)정도 걸린 것 같다.
쿠버네티스에 대한 사전 지식은 Pod가 무엇인지 아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유명한 유데미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를 진행했다.

해당 강의는 수시로 할인하기 때문에, 가격을 잘 보고 결제하자.
나는 17,000원에 강의를 구매했다.


📌 CKA 자격증 결제 & 시험 접수

자격증 결제

자격증 결제는 linux foundation에서 진행한다.
가격은 $395이며 약 40~50만원이다.
매번 할인하는 코드가 있으니 인터넷에서 확인하여 결제하는 것을 추천한다.
사이버먼데이라고 11월에 크게 할인할 때가 있는데, 이때가 가장 할인률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

시험 접수

시험은 결제 후 1년 안에 스케쥴 잡아 치루면 된다.
한번 떨어지면 한번 더 기회가 있으니 2번 안에 붙으면 된다.

시험 접수는 결제 후 나의 페이지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진행한다.
시험 접속도 해당 페이지에서 진행하며, 30분전에 시험 입실 버튼이 활성화된다.


📌 시험 전 준비

꼭 시작하기 30분전에 들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원격 프로그램 설치, 신분증 검사, 책상 검사, 방 검사하는데 거의 20~30분이 걸린다.
책상도 깨끗해야 한다고 하는데, 마우스 장패드와 모니터 받침대는 괜찮았다.
대신 카메라로 마우스 장패드 뒷부분과 모니터 받침대 아래 부분을 보여줘야 했다.

더불어 내 책상 옆에는 책이 가득 꽂힌 책장이 있었는데, 담요로 덮어두니 감독관이 아무 말도 안 했다.

📌 기출 문제

기억이 나는대로 적어보겠다.

1. Deployment scale
2. Sidecar - 기존 Pod에 log 수집하는 Sidecar 컨테이너 추가하기 & emptydir 연결
3. PV 생성
4. PVC 생성 & Pod에 PVC 연결
5. etcd 백업, 기존 백업본으로 복원
6. master node 업그레이드 (worker node는 진행 안 함)
7. multi container Pod 생성
8. Ingress 생성
9. Network Policy 생성 (namespaceSelector 사용)
10. 간단한 Pod 생성
11. Pod log 추출
12. node drain
14. Ready 상태인 Node 개수 카운팅 (taint가 NoSchedule이 아니어야 함)
15. Node Not Ready 트러블슈팅 (나의 경우 문제 노드의 ssh 접속하여 systemctl start kubelet 해주었더니 해결됐다.)
16. Toleration - controlplane 노드에 Pod 배포하기
17. Node Selector - 특정 노드에 Pod 배포하기


인터넷에서 기출문제가 많이 돌아다니는데, 정말 비슷하게 나오므로 검색하여 풀면 도움 많이 된다.

📌 시험 환경 복사, 붙여넣기 단축키

시험을 접수하면 killer.sh에서 시험 환경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2번 주어진다.
시험 치루기 전 해당 환경에서 한번 체험해보길 적극 추천한다.
왜냐하면 시험 환경은 리눅스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치루기 때문에, 복사 붙여넣기 단축키가 다르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복사, 붙여넣기는 다음 단축키를 이용했다.

  • 터미널 복사/붙여넣기 - crtl+shift+c, v
  • 파이어폭스, 메모장 복사/붙여넣기 - ctrl+c, v
  • 시험 문제 > 원격 환경 복사/붙여넣기 - 마우스 우클릭

Pod Name같이 시험에서 주어지는 요소는 클릭하면 바로 복사할 수 있다.
하지만 원격으로 붙여넣을 때 마우스 우클릭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므로, 개인적으로 추천한다.


📌 CKA 시험 리뉴얼

CKA 시험이 2월 10일 이후에 리뉴얼 된다고 한다.
아마 이 이후에 기출 문제가 바뀔 것 같은데,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면 빠르게 치르도록 하자.

다들 시험 화이팅!

profile
사람들이 움직이는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