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 3 전송 계층 혼잡제어

태규 최·2022년 1월 12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8/8
post-thumbnail

혼잡 제어

혼잡 인지

  • 패킷 손실이 일어나면 네트워크가 혼잡 하다고 판단을 해 전송률을 낮춘다..
  • 패킷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면 네트워크가 원할하다 판단을 해 전송률을 높인다.
  • 패킷 유실 : ack 신호가 타임아웃 시간안에 오지않음

Retransmission TimeOut = 재 전송까지 걸리는 타임 아웃
Round Trip Time = 한 패킷이 보냈다가 돌아오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

  • ACK 타임아웃은 너무 길거나 짧지 않게 설정한다.

RTO = (RTT(평균) + RTT 의 표준편차 *4, 1초) 중에 큰 값으로 정한다.

위의 확률은 정규분포표에 따르면 약 1/10000의 확률이다

RTT 구하기

weighted moving average

  • 최근에 구한 값에 더 가중지츨 둔 계산법

    RTTn = RTT의 n번째 측정값
    RTTm = m번째 샘플후 측정한 평균값

    혼잡 제어

    additive increase

    단위 (Increase)
    :MSS (Maximum Segment size)

  • 보통 1~ 4 Kb로 정한다.

  • 세그먼트의 크기는 효율의 문제

  • 크다고 무조건 좋지는 않음( 세그먼트를 다시 쪼개야 하는 경우도 있다)

  • 패킷이 정상적으로 통신이 되면 MSS 한개를 더 담아서 전송한다.

Multiplicative Decrease

  • 만약 패킷 전송이 실패하면 패킷의 수를 절반으로 줄인다.
  • 패킷 유실이 네트워크 이상을 반영할때는 Congestion Window를 1 Mss로 줄인다.
  • 네트워크 이상시에는 Cw를 1로 줄인다.
  • 단순 유실 경우에는 현재 Cw를 반으로 줄인다

Fast Transmit

  • Ack을 보낼 때 마지막으로 받은 패킷 다음의 패킷의 순번을 담아서 보낸다
  • 송신측에서 이 ACk을 연달아서 받게 되면 혼잡한 상황이라고 파악하고 창 크기를 줄인다
  • 수신하지 못한 패킷을 다시 보내게 된다.

slow start

  • 네트워크 이상시 Cw -> 1로 바뀌어서 cw증가가 느리다
    예) 기존 cw가 100일 경우 1/2 cw이 될때까지 선형적으로 증가시킨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