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7월 25일 화요일

Seoyoung Hong·2023년 7월 26일
0

TIL

목록 보기
5/11

#프로그래머스

Math.floor() : 소수점 이하 버림
Math.ceil(): 소수점 이하 올림
Math.round() : 소수점 이하 반올림

#Typescript

  1. 쓰는 이유 : JS 단점 보완
  • 실행시간 결정 변수 타입 체크 x, 컴파일 시간에 변수 타입 체크
  • vs에 코드 입력하는 순간 에러 메세지 (물렁한 객체 노노)
    => 바뀌는거 없이 더 안정적이다!
  1. 새로 배운 개념 : 튜플
    ;튜플은 서로 다른 타입의 원소를 순서에 맞게 가질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배열입니다.
    ; 어떤 타입의 원소를 허용할 것인지 정의만 해주면 됨

ex)

const person: [string, number, boolean] = ['Spartan', 25, false];
const person2: [string, number, boolean] = [25, 'Spartan', false]; // 오류!

  1. 새로 배운 개념 : enum

: 열거형 데이터 타입
: enum 안에 있는 각 요소는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숫자 0으로 시작해요!
: enum 안에 있는 요소에는 number 혹은 string타입의 값만을 할당할 수 있어요!

  1. 복습 개념 : const

: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얘기는 = 연산자로 다시 할당이 불가능

  1. 새로 배운 개념 : readonly

:객체의 속성을 불변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에요!

  • 즉, 클래스의 속성이나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변경할 수 없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any , unknown, union

:어쩔 수 없이 가변적인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다면 any를 쓰기보다는 unknown을 사용하세요! ;
그리고, 가변적인 타입을 일일이 정의할 수 있다면 union 사용이 가장 낫습니다!

object 타입과 같은 최상위 타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any` 타입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더 안전한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unknown 타입의 변수에도 모든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어요. - 하지만, 그 값을 다른 타입의 변수에 할당하려면 명시적으로 타입을 확인해야 합니다! -union 은 여러 타입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됩니다! - | 연산자를 사용하여 여러 타입을 결합하여 표현합니다.
profile
매일 나아지는 개발자 홍썸머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26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