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de -v
$ nvm ls
$ nvm만 입력하면 사용법이 표시됨.$ nvm list available

$ nvm install <원하는 버전> $ nvm install 16.6.2 64$ nvm install 10.16.3[arch]는 설치될 Node.js환경을 설정해준다. 32bit 환경이라면 32를 입력하고, 64bit환경이면 64를 입력해주면 된다.(잘 안쓰는듯)$ nvm arch 64 // or 32로 입력해줘도 된다.
$ nvm list 또는 $ nvm ls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는 Node.js버전이 조회된다.

nvm install 명령어를 통해 설치 시 wsarecv: An existing connection was forcibly closed by the remote host. 이 오류가 출력될 수 있다. 이는 nvm의 문제가 아니라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로 Node.js DIST(https://nodejs.org/dist/)접근하여 Node.js를 다운로드할 때 해당 URL이 차단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런경우에 Node.js DIST에서 Node.js를 직접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된다.tar.gz, zip등의 설치파일이 많은데 환경에 맞는 Node.js로 압축 형식으로 된 Node.js를 다운받고 이 경로로 이동하자.C:\Users\사용자 이름\AppData\Roaming\nvmnvm list나 nvm ls로 확인했던 버전이 존재한다. 이 경로에 Node.js버전 명으로 해서 압축해제 한다.nvm list 또는 nvm ls 명령어로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목록에 출려될 것이다.$ nvm use <사용할 버전>$ nvm use 16.6.2mkdir NodeTest를 만들고 cd NodeTest 디렉터리로 들어간 다음, nvm use<버전>을 입력하고 사용하려는 버전 번호로 바꾼다.
$ node -v 또는 npm --version Node.js버전이 변경이 되어있는지 확인.
nvm use 버전 명령어를 실행했는데, exit status 5: 라는 에러가 떴다.관리자로 실행으로 열고 다시 했더니 node 버전 변경이 잘 되었다.nvm list명령어를 실행했는데, 위의 캡쳐본의 문구가 뜨긴 하지만 그 윗줄에 nvm을 설치한 경로와 함께 could not be found or does not exist. Exiting. 문구가 같이 떴다.nvm root "C:\Users\계정명\AppData\Roaming\NVM" 을 입력한다.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