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향상을 위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하는 것이다.
CREATE [UNIQUE] INDEX 인덱스명 ON 테이블명(속성명 [ASC|DESC], [,속성명 [ASC|DESC]]);
ALTER TABLE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속성명 데이터_타입;
ALTER TABLE 테이블명 ALTER 속성명 데이터_타입;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LUMN 속성명 [CASCADE];
DROP
DROP TABLE 테이블명 [CASCADE | RESTRICT];
DROP DOMAIN 도메인명 [CASCADE | RESTRICT];
DROP SCHEMA 스키마명 [CASCADE | RESTRICT];
DROP VIEW 뷰명 [CASCADE | RESTRICT];
DROP INDEX 인덱스명 [CASCADE | RESTRICT];
DROP CONSTRAIN 제약조건명;
GRANT 권한_리스트 ON 개체 TO 사용자 [WITH GRANT OPTION];
REVOKE
REVOKE [GRANT OPTION FOR] 권한_리스트 ON 개체 FROM 사용자 [CASCADE]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UPDATE 테이블명 SET 속성명 = 데이터 [, 속성명=데이터, ...][WHERE 조건];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와 명세를 기술한 것.
데이터 교환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이다.
심리학자 톰 마릴은 컴퓨터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며,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방법으로, '기술적 은어'를 뜻한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 (Syntax)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등을 규정한다.
시간 (Timing)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등을 규정한다.
의미 (Semantics)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한다.
순수 관계 연산자
Select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 중에서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Project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Attribute List)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Join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에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Division
릴레이션 A, B가 있을 때 릴레이션 B의 조건에 맞는 것들만 릴레이션 A에서 분리하여 프로젝션을 하는 연산이다.
일반 집합 연산자
합집합 (UNION)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되, 결과로 생성된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튜플은 제거되는 연산이다.
교집합 (INTERSECTION)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교집합을 구하는 연산이다.
차집합 (DIFFERENCE)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이다.
교차곱 (CARTISIAN PRODUCT)
두 릴레이션에 있는 튜플들의 순서쌍을 구하는 연산이다.
문장 검증 기준 (Statement Coverage)
소스 코드의 모든 구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한다.
분기 검증 기준 (Branch Coverage)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에 대해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한다.
조건 검증 기준 (Condition Coverage)
소스 코드의 조건문에 포함된 개별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한다.
분기/조건 기준 (Branch/Condition Coverage)
조건문이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에 따라 조건 검증 기준의 입력 데이터를 구분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한다.
소프트웨어 형상 변경 요청을 검토하고 승인하여 현재의 기준선에 반영될 수 있도록 통제하는 것이다.
변수명 작성 시 자료형을 의미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Point-to-Point
애플리케이션을 1:1로 연결한다.
변경 및 재사용이 어렵다.
Hub & Spoke
단일 접점인 허브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이다.
허브 장애 발생 시 전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Message Bus (ESB 방식)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미들웨어를 두어 처리하는 방식이다.
확장성이 뛰어나며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다.
Hybrid
Hub & Spoke와 Message Bus의 혼합 방식이다.
그룹 내에는 Hub & Spoke 방식을, 그룹 간에는 Message Bus 방식을 사용한다.
직관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유효성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해야 한다.
학습성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한다.
유연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객체 변수 생성에 사용되는 메소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