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거나 모두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All or Nothing)
일관성 (Consistency)
트랜잭션이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유지 되어야한다.
독립성 (Isolation)
하나의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갱신하는 동안, 해당 데이터에는 다른 트랜잭션이 끼어들지 못한다.
지속성 (Durability)
트랜잭션이 완료된 이후의 상태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출처 : https://github.com/esperar/estudy/blob/master/DataBase/%EC%A0%95%EA%B7%9C%ED%99%94.md
기능적 결집도 (Funtional Cohesion)
모듈 내부의 모든 기능 요소들이 단일 문제와 연관되어 수행될 경우의 응집도이다.
순차적 응집도 (Sequential Cohesion)
모듈 내 하나의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 데이터를 그 다음 활동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의 응집도이다.
교환적 응집도 (Communication Cohesion)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이 모였을 경우의 응집도이다.
절차적 응집도 (Procedural Cohesion)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때 모듈 안의 구성 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의 응집도이다.
시간적 응집도 (Temporal Cohesion)
특정 시간에 처리되는 몇 개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모듈로 작성할 경우의 응집도이다.
논리적 응집도 (Logical Cohesion)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요소들로 하나의 모듈이 형성되는 경우의 응집도이다.
우연적 응집도 (Coincidential Cohesion)
모듈 내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련 없는 요소로만 구성된 경우의 응집도이다.
메시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존재한다.
가상 회선 방식 (VC, Virtual Circuit)
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출발지와 목적지의 전송 경로를 미리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고정한 후 통신하는 방식이다.
데이터그램 방식 (Datagram)
비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 사전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헤더에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지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붙여서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데이터베이스 병행제어 기법 중 하나이다.
접근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모두 마칠 때까지 추가적인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상호 배타적으로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모든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이다.
분석활동은 '객체 모델링 -> 동적 모델링 -> 기능 모델링'순으로 이루어진다.
객체 모델링 (Object Modeling)
정보 모델링(Information Modeling)이라고도 하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여 표시하는 모델링이다.
ex. ER 다이어그램(ERD)
동적 모델링 (Dynamic Modeling)
상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들 간의 제어 흐름, 상호 작용,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이다.
ex. 상태변화도(STD), 사건 추적도
기능 모델링 (Functional Modeling)
자료 흐름도를 이용하여 다수의 프로세스들 간의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표현한 모델링이다.
ex. 자료 흐름도 (DFD)
클래스 내의 static 함수는 '클래스.함수' 형태로 직접 호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