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개념 정리

SummerToday·2024년 4월 2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7/16
post-thumbnail

1.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애드 혹 네트워크 (Ad-hoc Network)
    • 재난 현장과 같이 별도의 고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Mobile Host)만을 이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이다.
    • 망을 구성한 후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나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다.

  • 메시 네트워크 (Mesh Network)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이다.
    •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있다.

  • 피코넷 (PICONET)
    • 여러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 파장 분할 다중화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기술 중 하나로,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신호를 보냄으로써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 (SDDC; Software Defined Data Center)
    •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의 개입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관리 및 제어되는 데이터 센터를 의미한다.

  • 개방형 링크드 데이터 (LOD, Linked Open Data)
    • Linked Data와 Open Data의 합성어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된 연계 데이터를 의미한다.
    •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URI(인터넷 식별자)로 식별하고, 각 URI에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모델이다.

  •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Physical World)와 가상 세계(Virtual World)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화된 환경이다.

  •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이다.

  • SSO (Single Sign On)
    • 한번의 로그인으로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사이트이다.

3. 트랜잭션의 특성

  •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거나 모두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All or Nothing)

  • 일관성 (Consistency)
    트랜잭션이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유지 되어야한다.

  • 독립성 (Isolation)
    하나의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갱신하는 동안, 해당 데이터에는 다른 트랜잭션이 끼어들지 못한다.

  • 지속성 (Durability)
    트랜잭션이 완료된 이후의 상태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4. 정규화

출처 : https://github.com/esperar/estudy/blob/master/DataBase/%EC%A0%95%EA%B7%9C%ED%99%94.md


11. 응집도

  • 기능적 결집도 (Funtional Cohesion)
    모듈 내부의 모든 기능 요소들이 단일 문제와 연관되어 수행될 경우의 응집도이다.

  • 순차적 응집도 (Sequential Cohesion)
    모듈 내 하나의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 데이터를 그 다음 활동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의 응집도이다.

  • 교환적 응집도 (Communication Cohesion)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이 모였을 경우의 응집도이다.

  • 절차적 응집도 (Procedural Cohesion)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때 모듈 안의 구성 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의 응집도이다.

  • 시간적 응집도 (Temporal Cohesion)
    특정 시간에 처리되는 몇 개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모듈로 작성할 경우의 응집도이다.

  • 논리적 응집도 (Logical Cohesion)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요소들로 하나의 모듈이 형성되는 경우의 응집도이다.

  • 우연적 응집도 (Coincidential Cohesion)
    모듈 내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련 없는 요소로만 구성된 경우의 응집도이다.


12. 패킷 교환 방식

메시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존재한다.

  • 가상 회선 방식 (VC, Virtual Circuit)
    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출발지와 목적지의 전송 경로를 미리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고정한 후 통신하는 방식이다.

  • 데이터그램 방식 (Datagram)
    비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 사전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헤더에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지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붙여서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14. 로킹 (Locking)

  • 데이터베이스 병행제어 기법 중 하나이다.

  • 접근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모두 마칠 때까지 추가적인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상호 배타적으로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15. 럼바우 분석 기법

모든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이다.
분석활동은 '객체 모델링 -> 동적 모델링 -> 기능 모델링'순으로 이루어진다.

  • 객체 모델링 (Object Modeling)
    정보 모델링(Information Modeling)이라고도 하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여 표시하는 모델링이다.
    ex. ER 다이어그램(ERD)

  • 동적 모델링 (Dynamic Modeling)
    상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들 간의 제어 흐름, 상호 작용,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이다.
    ex. 상태변화도(STD), 사건 추적도

  • 기능 모델링 (Functional Modeling)
    자료 흐름도를 이용하여 다수의 프로세스들 간의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표현한 모델링이다.
    ex. 자료 흐름도 (DFD)


17. static

클래스 내의 static 함수는 '클래스.함수' 형태로 직접 호출한다.




해당 글은 다음 도서의 내용을 참고한 글임을 밝힙니다.
길벗알앤디,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길벗, 2024, 368쪽
profile
블로그 이관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