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문자열이 내부에 존재하는지 확인해주고, 있을 경우 문자열의 index, 없을 경우 -1을 리턴해준다.
let name ="구현정";
name.indexOf("정") => 2
문자열이 1글자가 아니라 여러글자로 이루어져있을 경우에는
맨 앞 시작 인덱스를 리턴해준다. :)
slice(a,b) 는 a번째 인덱스에서부터 시작해서 b번째 직전 인덱스를 잘라내 리턴해준다.
// Assignment - 주소에서 시를 제외한 주소를 리턴해주기.
function sliceCityFromAddress(address) {
let doAddress = address.indexOf("도");
let si = address.indexOf("시");
if(doAddress !== -1){
// ~~도가 존재하는 경우.
return address.slice(0,doAddress+2)+address.slice(si+2,address.length)
s} else {
// ~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eturn address.slice(si+2,address.length)
}
}
sliceCityFromAddress("서울시 종로구 안국동")
+2를 해주는 이유는 뒤의 blank(띄워쓰기가 된 칸)을 지워주기 위해서이다 :)
new Date()를 사용하면 불러와진 시점의 시간을 알려준다.
console.log(new Date())
// 2020-09-17T11:39:09.942Z
그리고 여기서 나는 함정에 빠지게 되었다
let date1 = new Date('December 17, 2019 03:24:00');
let date2 = new Date('2019-12-17T03:24:00');
let date3 = new Date(2019, 5, 1);
=> 예상한 date 3의 값은 2019-4-30T15:00:00.000Z였었는데, 실제 출력된 값은
2019-05-31T15:00:00.000Z 이었다...!!!!
new Date(a,b,c)가 들어갈 경우 월에 해당하는 b가 인덱스처럼 작용해 실제로는 6월이 인식되고, 6월에서 시차로 인해 발생하는 1일이 빠진 5월 31일이 리턴되는 것이었다 :)
197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얼만큼의 시간이 지났는지 "밀리세컨드" 단위로 알려준다.
let milliSeconds = (new Date).getTime();
console.log(milliSeco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