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과 JSP 프로그래밍 이해하기
인터넷과 웹의 개요
- 인터넷
-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전 세계의 컴퓨터 네트워크
- 웹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공간
-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줄임말
웹의 동작 원리
- 웹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동작
- 가장 널리 쓰이는 웹 서버
- 아파치(Apache), 톰캣(Tomcat),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 페이지
- 정적 웹 페이지
- 움직임이 없는 것
- 컴퓨터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그대로 보는 것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동적 웹 페이지
- 움직임이 있는 것
- 저장된 내용을 다른 변수로 가공 처리하여 보는 것
- PHP(Personal Home Page), ASP(Active Server Page), JSP
정적 웹 페이지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웹페이지 요청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준비된 html 문서를 그대로 전달
동적 웹페이지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 요청
- 서버가 요청을 분석하여 처리
- 결과를 html문서로 생성 후 전달
웹 프로그래밍과 JSP
- 웹프로그래밍 언어
- 클라이언트 측 실행 언어와 서버 측 실행 언어로 구분
-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JSP는 서버 측 웹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 JSP의 특징
- JSP는 서블릿 기술의 확장입니다.
- JSP는 유지 관리가 용이합니다.
- JSP는 빠른 개발이 가능합니다.
- JSP로 개발하면 코드 길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JSP 페이지의 처리 과정
- JSP 요청
- 서블린 프로그램으로 번역
- 서블릿 클래스로 컴파일(클래스 파일로 변경)
3-1. JSP 생명주기 번역-> 컴파일 -> 로딩 및 초기화(jspInit()) -> 실행(jspService()) -> 소멸(jspDestroy())
- JSP 서블릿 실행 응답(가공된 HTML 문서)
JSP 개발 환경 도구
- 자바 개발환경 : JDK
- JSP는 HTML, 코드 내에 자바 코드를 작성하기 때문에 자바 개발 도구인 JDK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웹서버 : 톰캣
- 웹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웹페이지가 실행되어 웹 브라우저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웹 컨테이너를 설치해야 합니다. JSP 웹 컨테이너로 자주 사용되는 것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톰캣입니다. 톰캣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서 무료로 누구나 사용 가능합니다.
- 통합 개발 환경 : 이클립스
- JSP 코드를 작성한 후 이를 컴파일하여 오류를 검사하고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개발자에게 가장 인기 있는 이클립스(Eclipse)를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 DB : PostgreSQL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Sxp6_PN9Chc&list=PLilcDFW2bfcq9pFGU2rNTbhtKcC5yNJW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