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case 구성요소와의 관계
연관
use case 와 actor의 관계
확장
기본 use case 수행 시 특별한 조건을 만족할 때 수행할 usecase
포함
시스템의 기능이 별도의 기능을 포함
일반화
하위 use case/action이 상위 use case/actor에게 기능/역할을 상속받음
그룹화
여러개의 usecase를 단순화하는 방법
Divide and Conquer(분할 정복 알고리즘)
그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
Greedy(탐욕 알고리즘)
현재 시점에서 가장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는 알고리즘
Backtracking
모든 조합을 시도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알고리즘
개체무결성
모든 테이블이 기본키로선택된 컬럼을 가져야함
참조무결성
참조관계의 두 테이블의 데이터가 항상 일관된 값을 갖도록 유지하는것을 말합니다잉~
도메인무결성
테이블에 존재하는 필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것
- ex ) 어떤 값의 허용 에 대한 사항을 정의하고 올바른데이터가 입력되엇는가 확인하는것
무결성규칙
db에서 무결성규칙은 데이터무결성을 지키기 위한 모든 제약사항을 뜻함
비즈니스 규칙
데이터베이스 유저들마다 각각 다르게 적용됨 !!
CIDR 표기법
- ipv4 32비트중 앞 24비트가 네트워크ip, 뒤 8비트가 호스트ip가 됩니다.
- 여기서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려면 호스트ip의 앞쪽 비트를 가능한 적게 4개까지 나누어줘야 하는데요
- 2진수에서 4개로 나누려면 2비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192.168.1.(00)000000 (0)
192.168.1.(01)000000 (64)
192.168.1.(10)000000 (128)
192.168.1.(11)000000 (192)
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여기서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는것은
- 호스트ip가 전부 0인 192.168.1.0 도 사용하겠단것을 의미 합니다.
- 즉 4번째 네트워크는 192.168.1.192가 되겠죠?
- 단 각 서브넷에서 호스트ip가 전부 0인 주소와 전부 1인 주소는 다른 용도로 이미 예약이 되어있습니다.(0은 네트워크 자체의 주소, 1은 브로드캐스팅 주소)
즉 여기서 4번째 사용가능한 ip는
- 193,194,195,196←이게 되는거죠
SJF(Shortest Job First)
작업이 끝나기까지의 실행 시간 추정치가 가장 작은 작업을 먼저 실행시키는 방식
강제접근통제(Mandatory Access Control)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임의접근통제(Discretionary Access Control)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사용자계정컨트롤(User Access Control)
프로그램에서 관리자 수준의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알려서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
자료별 접근통제(Data-Label Access Control > Label-Based Access Control)
개별 행, 열에 대해 쓰기 권한, 읽기 권한을 가졌는지를 명확하게 결정하는 제어 방식
wtmp
- 성공한 로그인/로그아웃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파일
- var/log/wtmp에 위치
- last 명령어 사용
-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성공한 로그인/로그아웃 정보기록
- 시스템의 종료/시작 시간 기록
utmp
- 현재 로그인 사용자 상태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파일
btmp
last log
- 마지막으로 성공한 로그인 정보를 담고있는 로그파일
테일러링 (Tailoring)
프로젝트 상황 특성에 맞게 정의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절차, 사용기법 등을 수정 및 보완하는 작업
-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 절차, 산출물 등을 적절히 변경하는 활동이다.
- 관리 측면에서의 목적 중 하나는 최단기간에 안정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사전 위험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것이다.
- 기술적 측면에서의 목적 중 하나는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기술 요소를 도입하여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최적의 기법과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