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강에서는 미디어쿼리를 배웠고
오늘은 예제에 도입해 실습하는 시간이다!
화면의 크기가 작아지면 이전에 만들어놓은 웹페이지는 큰화면 기준으로 만들었기때문에 답답해 보인다
내 페이지는 동영상이 들어갔기때문에 동영상 크기보다 작아지면
글씨도 페이지에 맞게 작게 이동하지 않았다
본문을 아래로 배치하고 필요없는 선을 없애고
타이틀의 크기를 줄이는 등의 방식으로 바꾸려 한다
처음으로 화면사이즈를 정하는데
검사를 열어 화면사이즈를 보니 800px보다 작아지면 본문이 이상하게 된다
800을 기준으로 해서 800보다 클때와 작을때의 디자인을 다르게 해보겠다
다른건 다 놔두고 추가하면 되는데
@media(max-width:800px){
}
800px보다 화면이 작을때
800보다 화면이 작다는것은 max가 800px일때를 말한다
10강 11강에서 나란히 놓기위해 grid를 배웠지만
이제는 그 본문을 다시 내리려 할때
grid가 더이상 grid값이 아니게 하면 된다
grid값을 복사해서 미디어부분으로 옮겨주고
@media(max-width:800px){
#grid{
display: block;
}
}
display부분을 block 로 바꿔준다
그렇게 되면 화면의 크기가 작을때 id값이 grid인 태그의 display가
grid였던것이 block로 바뀌게 되면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block level element가 되면 화면 전체를 쓰기 때문)
본문을 아래로 내리고 보니 중간의 선이 거슬린다
저 선이 왜있는지 체크하면
ol태그의 border-right라는 속성때문에 있는것을 알수있다
위의 ol부분을 그대로 카피해서
@media(max-width:800px){
#grid{
display: block;
}
#grid ol{
border-right:none;
}
}
border-right:none; 으로 바꿔주게되면 줄이 없어지는걸 볼수있다
웹 밑의 줄도 거슬리니 없애보도록 하겠다
이것은 h1태그의
h1{
border-bottom: 1px solid gray;
}
이부분때문인것을 알수있고
그대로 가져와서 테두리를 없앤다는뜻에서 none으로 지정해주었다
@media(max-width:800px){
#grid{
display: block;
}
#grid ol{
border-right:none;
}
h1{
border-bottom:none;
}
}
결과물
작은화면에서는 간단히 잘 보이게 되었고
큰화면에서는 넓은 화면의 특성을 잘 쓸수있는 레이아웃으로 변하는것을 볼수있다
미디어쿼리를 이용하면 이것보다 더 복잡한것을 이용할수있다
미디어쿼리가 어떤것인가 , 다양한 화면에서 웹은 어떻게 적응해왔는가를 배웠으니 나중에 이런 상황이 필요할때 미디어 쿼리를 공부하면 되는구나 떠올릴수있다!
🤦♂️ 생활코딩 css 강의시간은 2시간 가량인데.. velog에 정리하면서 듣다보니 3일이 지나갔다
그래도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 진짜 공부를 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다음 강좌인 javascript도 열심히 들어보도록 노력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