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 storage

세미·2022년 12월 10일
0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6/9

Physical Storage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 되어있는지 다루는 part
데이터베이스:
초기 : 파일형태로 저장 ->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을까?
모든 DB는 physical storage에 저장 되어있음.

  • 휘발성 데이터:
    : 전원이 꺼질 때 데이터가 사라짐.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곳은 아님.
    : Ex). RAM.
  • 비휘발성 데이터
    : 영구적인 저장장치.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
    : 2차, 3차 저장장치에 해당 ex) 디스크, ssd
    : 어디에 저장할 건지 선택해야함. 무엇을 고려해야되는가
  1. 어떤 데이터가 access 될 건지
  2. access 될 때 얼마나 시간이 필요한지
    ex) 게시물을 내리는 거. Access시간이 짧아야함.
    -> Access 시간이 짧을려면 저장장치의 성능이 좋아야함. -> Cost per unit of data.
    대용량 사진이미지 -> 굳이 데이터를 읽는 속도가 매우 빠를 필요가 없다. 어느정도 속도가 보장되면 되는 것.
    데이터의 종류 &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access속도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드는 비용을 고려.
  • Reliability(신뢰성): 데이터를 저장할 때 장애를 안겪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지. 오랜시간이 지나도 내용물 변경없이 저장되어야 함. ->ssd, disk(좀더 신뢰성있음.)
     이 기준들. 대규모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센터에서 고려해야할 조건들.

Storage Hirerarchy
계층존재.

  • 위로갈수록 단위용량 가격 다운.  물리적인 가격 때문에 그럼.
  • 아래로 갈수록 용량 업. 가격이 비싸짐.
난이도가 있는 파트. Database를 많이 사용되는 곳 ->은행 금융. -> transaction단위로 작동.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