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 IP는 세팅이 좀 더 불편하고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할 때는 고정 IP를 많이 사용
제한된 IP를 여러 호스트가 번갈아가면서 사용, IP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납해서 다른 호스트들이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경제적
IP가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안정적인 서비스가 힘들다.
서브넷 마스크: IP주소를 네트워크 포션 / 호스트 포션으로 나누는데 사용되는 숫자 조합
디폴트 게이트: 기본적으로 설정된 라우팅 경로, 보낼곳을 모를 우선 저장해두는 곳
라우팅: 라우터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
라우팅테이블: 라우터가 해야하는 일이나 경로에 대한 정보가 담긴 테이블
dhcp: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dns: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비스
1. PuTTY 접속
2. root 계정으로 전환 : su
3.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 확인 : ip addr
4. 게이트 웨이 주소 확인 : ip route
5. 네트워크 설정파일 검색 : sudo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6. a(끼워넣기) > BOOTPROTO=dhcp ⇨ BOOTPROTO=static
7. 밑의 내용 추가
IPADDR : 자신이 바꿀 IP 주소를 입력
GATEWAY : ip route 로 찾은 게이트웨이 주소
NETMASK : ip addr 로 찾은 넷마스크
DNS1=8.8.8.8, DNS2=8.8.4.4 추가
8. 설정 적용 : systemctl restart network
9. VirtualBox > 포트포워딩 > 게스트 ip 변경 > 확인
10. PuTTY 재접속
11. 확인 : ip ad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