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ask 패키지 설치!
파일 > 설정 > 인터프리터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This is Home!'
   
@app.route('/mypage')
def mypage():
  return 'mypage'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Flask 서버를 만들 때, 항상,
프로젝트 폴더 안에,
ㄴstatic 폴더 (이미지, css파일을 넣어둡니다)
ㄴtemplates 폴더 (html파일을 넣어둡니다)
ㄴapp.py 파일
이렇게 세 개를 만들어두고 시작해야한다. 이제 각 폴더의 역할이 있다.
templates 폴더의 역할은
HTML 파일을 담아두고,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templates 안의 index.html 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render+template을 import 하여 return render_template('index.html')로 사용한다.
function hey() {
           $.ajax({
               type: "GET",
               url: "/test?title_give=봄날은간다",
               data: {},
               success: function (response) {
                   console.log(response)
               }
           })
       } function hey() 를 넣어 onclick 이벤트로 연결하고, Ajax코드를 작성했다.@app.route('/test', methods=['GET'])
def test_get():
 title_receive = request.args.get('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 'msg': '이 요청은 GET!'}) GET요청 API코드를 만들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request 와 jsonify를 import 해준다. POST도 GET과 같은 방식이다.$.ajax({
         type: "POST",
         url: "/test",
         data: { title_give:'봄날은간다' },
         success: function(response){
         console.log(response)
        }
     })@app.route('/test', methods=['POST'])
def test_post():
 title_receive = request.form['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 'msg': '이 요청은 POST!'}) 위에서 title부터 아랫줄들이 줄정렬이 안되면 에러가 발생하는데,GET POST 요청과 API 통신을 통해 프론트와 백엔드의 통신 구조를 이해하고,T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