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배포방법
실습 목표
EC2 배포
EC2 에 Web 서비스 올리기
Web에서 접속하기
단계 2 : 인스턴스 유형 선택 → 't2.micro vCPU(1) MEM(1GiB)' 선택
인스턴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서버입니다
이러한 인스턴스에는 CPU, 메모리,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용량의 다양한 조합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적절한 리소스 조합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GiB 란?
단계 3 :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 '기본값 그대로 두고' 하단
# 실습의 편리를 위해서 root 계정으로 전환합니다.
# 실제 현업에서 root(관리자, 수퍼유저)로 사용은 되도록 금합니다. 하지만 실습의 경우이니 편리성을 위해서 관리자로 전환하여 진행합니다.
[ec2-user@ip-172-31-46-221 ~]$ sudo su -
# Web 서비스를 설치합니다.
# yum :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 겸 패키지 설치/제거 도구
# httpd : HTTP 데몬(HTTP Daemon), 즉 httpd는 웹 서버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들어오는 서버 요청을 대기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root@ip-172-31-46-221 ~]# yum install httpd -y
# Web 서비스를 실행합니다. (httpd 실행)
# systemd의 용도는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유닛(Unit)으로 서비스를 제어하는 시스템 자원 통합 관리 도구
[root@ip-172-31-46-221 ~]# systemctl start httpd
# 웹 페이지를 구성합니다.
# 기본 웹 페이지 디렉터리는 /var/www/html 이다.
# 아래 명령어는 본문 내용을 담아서 index.html 파일을 생성한다
## (심화) Apache는 파일에 접근 시에 디렉토리만 지정될 경우에 기본으로 반환하는 파일을 "DirectoryIndex"로 지정하며 보통 'index.html' 포함됨
# echo 는 문자열을 터미널에 출력하는 역할
# > 파일 은 터미널에 출력될 문자를 파일에 적는 역할
[root@ip-172-31-46-221 ~]# echo "<h1>Test Web Server</h1>" > /var/www/html/index.html
# ls 로 파일 생성 확인
# 디렉토리 내용 출력
[root@ip-172-31-46-223 ~]# ls /var/www/html/
index.html
# cat 로 생성된 파일 내용 확인
# cat : 파일 내용 출력
[root@ip-172-31-46-223 ~]# cat /var/www/html/index.html
<h1>Test Web Server</h1>
# curl(CLI 웹 요청 명령어) 명령어로 웹 접속을 확인합니다.
# curl : url에 요청보내기
[root@ip-172-31-46-221 ~]# curl localhost
<h1>Test Web Server</h1>
# 웹 서비스 동작 확인 - TCP 80(HTTP)를 사용
# ss : 포트 확인 명령어
# -t : tcp 포트 확인
# -l : LISTEN 포트 확인
# -n : 호스트/포트/사용자 이름을 숫자로 표시
[root@ip-172-31-46-223 ~]# ss -tl
State Recv-Q Send-Q Local Address:Port Peer Address:Port
...
LISTEN 0 128 *:http *:*
[root@ip-172-31-46-223 ~]# ss -tln
State Recv-Q Send-Q Local Address:Port Peer Address:Port
...
LISTEN 0 128 *:80 *:*
# index.html 수정 방법
# vi /var/www/html/index.html
# a 눌러서 삽입으로 바꾸고 내용 수정 후
# esc 누르고 :wq 엔터(수정 저장 후 나가기)
[root@ip-172-31-46-223 ~]# vi /var/www/html/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