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sh
배열의 마지막에 새로운 요소 생성
pop
배열의 마지막에있는 요소 제거
shift
배열의 앞에있는 요소 제거
unshift
배열의 앞에있는 요소 생성
🙆♀️ 문자열과 배열의 타입 변환을 돕는 메소드를 알고 있다.
🙆♀️ 띄어쓰기 (" ")
로 문자열을 구분하여, 배열로 변경할 수 있다.
str.split(" ").join(" ")
🙆♀️ 배열 요소(element)를 조회할 수 있다. bracket notation
🙆♀️ 배열을 복사, 분리하는 법을 이해할 수 있다. slice, splice
🙆♀️ 변수, 데이터, 또는 특정 값이 배열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다. Array.isArray
🙆♀️ 배열의 요소(element)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push, unshift, pop, shift
🙆♀️ 배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length
🙆♀️ 변수, 데이터, 또는 특정 값이 배열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indexOf, includes
indexOf를 썼을 때 배열에 존재하지 않는 값은 -1이 나온다.
function createPhoneNumber(arr) {
let result = ''
let head = '(010)'
if(arr.length === 8) {
let body = arr.slice(0,4)
let tail =arr.slice(4,8)
result = result + head + body.join('') + '-' + tail.join('')
}
if(arr.length === 11) {
let head2 = arr.slice(0,3)
let body = arr.slice(3,7)
let tail = arr.slice(7,11)
result = result + `(${head2.join('')})` + body.join('') + '-' + tail.join('')
}
return result
}
//result 변수를 선언해준다. ''로 할당해준다.
//만약arr의 길이가 8일 경우
//변수 front를 선언해준다. '(010)'으로 할당해준다.
//result에 front를 더해주고 arr.join()을 더해준다.
//만약 arr의 길이가 11일 경우
//result에 arr.join()을 더해준다.
//result를 리턴해준다
function createPhoneNumber(arr) {
let result = ''
let head = '(010)'
let head2 = '' + arr[0] + arr[1] + arr[2]
let body = '' + arr[0] + arr[1] + arr[2] + arr[3]
let tail = '' + arr[4] + arr[5] + arr[6] + arr[7]
if(arr.length === 8){
result = head + body + '-' + tail
}
else if(arr.length === 11){
head2 = `(${head2})`
body = '' + arr[3] + arr[4] + arr[5] + arr[6]
tail = '' + arr[7] + arr[8] + arr[9] + arr[10]
result = head2 + body + '-' + tail
}
return result
}
//변수 result를 선언한다. ''를 할당한다.
//배열의 길이가 8일 경우
//head라는 변수를 선언한다. '(010)'을 할당해준다
//body 변수를 선언한다. '' 할당
//tail변수를 선언한다. '' 할당
//body = body + arr[0] + arr[1] + arr[2]
//tail = tail + arr[]
//result = head + '-' body + '-' tail
//result를 리턴한다.
//베열의 길이가 11일 경우
//for문을 만든다. let i = 0 ; i < 3 ; i++
//head2 = head2 + arr[i]
//head2 = `(${head2})`
//for문을 만든다. let i = 3 ;i < 7;i++
//body = body + arr[i]
function fibonacci(num) {
let fibNum = []
for(let i =0; i <= num; i++) {
if(i === 0) {
fibNum.push(0)
}
else if(i === 1) {
fibNum.push(1)
}else{
fibNum[i] = fibNum[i-1] + fibNum[i-2]
}
}
return fibNum
}
🙆♀️ 객체 속성 삭제를 위한 delete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delete obj.key
let cart = {};
cart.상품명 = '노트북';
cart.코드번호 = 'A1234';
cart.사이즈 = '250mm x 450mm';
cart.가격 = '100,000';
delete cart.가격;
console.log(cart);
// {상품명: "노트북", 코드번호: "A1234", 사이즈: "250mm x 450mm"}
🙆♀️ 객체를 위한 for문 for ... in 문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다.
for in
모든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다
for of
iterable 객체(반복 가능한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배열은 대표적인 iterable 객체이다. [Symbol.iterator]
속성이 있어야 사용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