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기초가 제일 중요하다는 말은 변함이없는 것 같아요.
이번 캠프에 들어오기전에 나름 공부를 했다고 생각했지만, 그건 공부가 아니었네욧.
이번주는 코어자바스크립트를 빠르게 익혀야하는 주입니다.
그동안 어렴풋이 알고 있던 것들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문자형으로의 형 변환은 문자형의 값이 필요할 때 일어납니다.
alert메서드는 매개변수로 문자형을 받기 때문에, alert(value)에서 value는 문자형이어야 합니다. 만약, 다른 형의 값을 전달받으면 이 값은 문자형으로 자동 변환됩니다.
String(value) 함수를 호출해 전달받은 값을 문자열로 변환 할 수도 있습니다.
True 는 Boolean이고, 그 앞에 String을 씌운다면 문자형(string)으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alert( "6" / "2" ); // 3, 문자열이 숫자형으로 자동변환된 후 연산이 수행됩니다.
alert( Number(" 123 ") ); // 123
alert( Number("123z") ); // NaN ("z"를 숫자로 변환하는 데 실패함)
alert( Number(true) ); // 1
alert( Number(false) ); // 0
불린형으로 변환
이 형 변환은 논리 연산을 수행할 때 발생합니다(논리 연산에 관한 내용은 뒤 챕터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Boolean(value)를 호출하면 명시적으로 불리언으로의 형 변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불린형으로 변환 시 적용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숫자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과 같이 직관적으로도 “비어있다고” 느껴지는 값들은 false가 됩니다.
그 외의 값은 true로 변환됩니다.
alert( Boolean(1) ); // 숫자 1(true)
alert( Boolean(0) ); // 숫자 0(false)
alert( Boolean("hello") ); // 문자열(true)
alert( Boolean("") ); // 빈 문자열(false)
확실하게 개념들 잘 잡아가시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