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면 표시 관련
div {
display: none; // 화면에서 노출하지 않습니다.
display: block; // 화면 가로 전체 영역을 차지합니다.
display: inline; // 컨텐트 영역 만큼을 차지합니다.
/*
컨텐트 영역 만큼을 차지하면서 block에 적용할 수 있는 propertie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div {display: inline-block; width: 100px;}
*/
display: inline-block;
}
div {
width: 100%; // 선택자의 너비를 줍니다.
height: 100%; // 선택자의 높이를 줍니다.
min-width: 50%; // 선택자의 최소 너비를 설정합니다.
max-height: 300px; // 선택자의 최대 높이를 설정합니다.
padding: 10px 20px 30px 40px; // 박스 모델 내부 간격을 조정합니다.
margin: 10px 20px 30px 40px; // 박스 모델 외부 간격을 조정합니다.
// 방향(direction)을 줘서 특정 방향에만 적용도 가능합니다.
margin-top: 10px; // 박스 모델 상단에 외부 간격이 발생합니다.
// 축약형(shortcut)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adding: 10px; // 상하좌우 내부 padding 10px 적용합니다.
overflow: visible; // 선택자에서 넘치는 컨텐츠를 보여줍니다.
overflow: hidden; // 선택자에서 넘치는 컨텐츠를 숨깁니다.
}
div {
float: left; // 해당 선택자를 좌측 공중으로 띄웁니다.
clear: left; // floating된 선택자를 초기화합니다.
}
dis {
position: static; // position의 기본값입니다.
position: relative; // 자식들의 positioning을 위한 기준이 됩니다.
position: absolute; // 자기 자신을 공중에 띄웁니다. 이것 역시 relative와 마찬가지로 자식들의 posotioning을 위한 기준이 됩니다.
position: fixed; // 자기 자신을 공중에 띄우는데 뷰포트 기준으로 위치합니다. 이것 역시 relative와 마찬가지로 자식들의 posotioning을 위한 기준이 됩니다.
// position과 함께 쓰이는 방향값입니다.
top: 0;
right: 0;
bottom: 0;
left: 0;
}
div {
// z-index는 position을 함께 줘야 적용됩니다.
position: relative;
// z-index는 x축과 y축이 아닌 z축으로 선택자를 띄웁니다. 값이 높을수록 위쪽에 있습니다.
z-index: 1;
}
div {
font-size: 20px; // 폰트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line-height: 30px; // 폰트의 높이를 결정합니다.
font-weight: 400; // 폰트의 두께를 결정합니다. 400은 normal을 의미합니다.
text-align: center; // 선택자의 자식이 inline 요소에 대한 수평 정렬을 의미합니다.
vertical-align: middle; // 선택자의 수직 정렬을 의미합니다.
}
div {
background-color: #ff0; // 배경색을 정합니다.
background-image: url('val'); // 배경 이미지를 넣습니다.
background-size: 100%; // 배경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background-position: center; //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합니다.
background-repeat: no-repeat; // 배경 이미지의 반복 유무를 결정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