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Deep Dive - 스코프

이승윤·2022년 11월 14일
0

스코프란?


모든 식별자(변수 이름, 함수 이름, 클래스 이름 등)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이를 스코프라 한다. 즉,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

var x = 'global'; // 전역 스코프

function foo() {
  var x = 'local'; // 지역(함수) 스코프
  console.log(x); // local
}
foo();

console.log(x); // global

"코드가 어디서 실행되며 주변에 어떤 코드가 있는지"를 렉시컬 환경이라고 부른다. 즉, 코드의 문맥은 렉시컬 환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구현한 것이 실행 컨텍스트이며, 모든 코드는 실행 컨텍스트에서 평가되고 실행된다. 스코프는 실행 컨텍스트와 깊은 관련이 있다.

스코프의 종류


구분설명스코프변수
전역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전역 스코프전역 변수
지역함수 몸체 내부지역 스코프지역 변수

전역 스코프, 지역 스코프

전역 변수는 어디서든지 참조할 수 있으며,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하다.

// 전역 스코프
let x = 'global x';
let y= 'global y';

// 지역 스코프
function outer() {
  let z = "outer's local z";
  
  console.log(x); // global x
  console.log(y); // global y
  console.log(z); // outer;s local z
  
  // 지역 스코프
  function inner() {
    var x = "inner's local x";
    
    console.log(x); // inner's local x
    console.log(y); // global y;
  }
  
  inner();
}

outer();

console.log(z); // 레퍼런스 에러

스코프 체인


함수는 전역에서 정의할 수도 있고 함수 몸체 내부에서 정의할 수도 있다. 함수 몸체 내부에서 함수가 정의된 것을 '함수의 중첩'이라 한다. 그리고 함수 몸체 내부에서 정의한 함수를 '중첩 함수',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를 '외부 함수'라고 한다.

위의 예제를 살펴보면, 전역 스코프, 지역 스코프, 지역 안의 스코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스코프가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이렇게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을 스코프체인이라 한다.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이를 통해 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

함수 레벨 스코프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되는 것을 함수 레벨 스코프라 한다. 대표적인 예로 var 변수가 있다. 이는 for, if와 같은 블록 레벨 스코프 범위내에서 변수를 선언하였을 경우에 전역으로 처리되어 버리는 심각할수도 있는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변수인 let과 const를 도입했다.

렉시컬 스코프


var x = 1;

function foo() {
  var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1
bar(); // 1

동적 스코프: 함수가 호출되는 시점에 동적으로 상위 스코프를 결정
렉시컬(정적) 스코프: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정적으로 결정된다.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함수가 호출된 위치는 상위 스코프 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즉,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다.

이는 클로저와 깊은 관계가 있다.

profile
항상 꿈꾸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