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DB] 트랜잭션 이해

szlee·2023년 12월 21일
0

SpringDB

목록 보기
3/12

<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강의를 보고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합니다.





트랜잭션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단순히 파일에 저장해도 되는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유는 뭘까?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바로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잭션이라는 개념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트랜잭션을 이름 그대로 번역하면 거래라는 뜻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은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주는 것을 뜻한다.



트랜잭션 ACID

트랜잭션은 ACID(http://en.wikipedia.org/wiki/ACID)라 하는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격리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을 보장해야 한다.

  • 원자성: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들은 마치 하나의 작업인 것처럼 모두 성공 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
  • 일관성: 모든 트랜잭션은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한 무결성 제약 조건을 항상 만족해야 한다.
  • 격리성: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리한다. 예를 들어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수정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격리성은 동시성과 관련된 성능 이슈로 인해 트랜잭션 격리 수준(Isolation level)을 선택할 수 있다.
  • 지속성: 트랜잭션을 성공적으로 끝내면 그 결과가 항상 기록되어야 한다. 중간에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해도 데이터베이스 로그 등을 사용해서 성공한 트랜잭션 내용을 복구해야 한다.

트랜잭션은 원자성, 일관성, 지속성을 보장한다. 문제는 격리성인데 트랜잭션 간에 격리성을 완벽히 보장하려면 트랜잭션을 거의 순서대로 실행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동시 처리 성능이 매우 나빠진다. 이런 문제로 인해 ANSI 표준은 트랜 잭션의 격리 수준을 4단계로 나누어 정의했다.

트랜잭션 격리 수준 - Isolation level

  • READ UNCOMMITED(커밋되지 않은 읽기)
  • READ COMMITTED(커밋된 읽기)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격리 수준.
  • REPEATABLE READ(반복 가능한 읽기)
  • SERIALIZABLE(직렬화 가능)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조와 DB 세션

  • 사용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나 DB 접근 툴 같은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고 커넥션을 맺게 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내부에 세션이라는 것을 만든다. 그리고 앞으로 해당 커넥션을 통한 모든 요청은 이 세션을 통해서 실행하게 된다.
  • 클라이언트를 통해 SQL을 전달하면 현재 커넥션에 연결된 세션이 SQL을 실행한다.
  • 세션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 또는 롤백을 통해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그리고 이후에 새로운 트랜잭션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커넥션을 닫거나 또는 DBA가 세션을 강제로 종료하면 세션은 종료된다.
  • 커넥션 풀이 10개의 커넥션을 생성하면 세션도 10개 만들어진다.




트랜잭션 이해하기

트랜잭션 사용법

  • 쿼리를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결과를 반영하려면 commit을 호출하고, 반영하고 싶지 않으면 rollback을 호출한다.
    • 커밋과 롤백 중 하나를 선택하는 거다.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으면 커밋, 임시데이터 이전 상태로 되돌리고 싶으면 롤백. 커밋 이후의 롤백은 아무런 힘이 없다.
  • 커밋을 호출하기 전까지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트랜잭션을 시작한 세션(사용자)에게만 변경 데이터가 보이고 다른 세션(사용자)에게는 변경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다.
  • 등록, 수정, 삭제 모두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커밋하지 않은 데이터를 다른 곳에서 조회할 수 있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 커밋하지 않은 데이터가 보인다면 세션2는 데이터를 조회했을 때 신규 회원1, 2가 보일 것이다. 따라서 신규회원1, 신규회원2가 있다고 가정하고 어떤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세션1이 롤백을 수행하면 신규회원1, 신규회원2의 데이터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정합성에 큰 문제가 발생한다.
  • 세션2에서 세션1이 아직 커밋하지 않은 변경 데이터가 보인다면 세션1이 롤백했을 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커밋 전의 데이터는 다른 세션에서 보이지 않는다.



자동 커밋, 수동 커밋

자동 커밋

set autocommit true;

자동 커밋으로 설정하면 각각의 쿼리 실행 직후에 자동으로 커밋을 호출한다. 따라서 커밋이나 롤백을 직접 호출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하지만 쿼리를 하나하나 실행할 때마다 자동으로 커밋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원하는 트랜잭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commit, rollback을 직접 호출하면서 트랜잭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자동 커밋을 끄고 수동 커밋을 사용해야 한다.

수동 커밋

set autocommit false;

보통 자동 커밋 모드가 기본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동 커밋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트랜잭션을 시작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수동 커밋 설정을 하면 이후에 꼭 commit, rollback을 호출해야 한다.

참고로 수동 커밋 모드나 자동 커밋 모드는 한번 설정하면 해당 세션에서는 계속 유지된다 중간에 변경은 가능하다.



원자성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들은 마치 하나의 작업인 것처럼 모두 성공 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 트랜잭션의 원자성 덕분에 여러 SQL 명령어를 마치 하나의 작업인 것처럼 처리할 수 있었다. 성공하면 한번에 반영하고, 중간에 실패해도 마치 하나의 작업을 되돌리는 것 처럼 간단히 되돌릴 수 있다.

오토 커밋
만약 오토 커밋 모드로 동작하는데, 계좌이체 중간에 실패하면 어떻게 될까? 쿼리를 하나 실행할 때 마다 바로바로 커밋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memberA 의 돈만 2000원 줄어드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트랜잭션 시작
따라서 이런 종류의 작업은 꼭 수동 커밋 모드를 사용해서 수동으로 커밋, 롤백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보통 이렇게 자동 커밋 모드에서 수동 커밋 모드로 전환 하는 것을 트랜잭션을 시작한다고 표현한다.





DB 락

세션1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동안 아직 커밋을 수행하지 않았는데, 세션2에서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트랜잭션의 원자성이 깨지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세션1이 중간에 롤백을 하게 되면 세션2는 잘못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세션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동안에는 커밋이나 롤백 전까지 다른 세션에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게 막아야 한다.


세션1은 memberA 의 금액을 500원으로 변경하고 싶고, 세션2는 같은 memberA 의 금액을 1000원으로 변경하고 싶다.
데이터베이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락(Lock)이라는 개념을 제공한다.


락의 개념 이해하기


1. 세션1은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2. 세션1은 memberAmoney 를 500으로 변경을 시도한다. 이때 해당 로우의 락을 먼저 획득해야 한다. 락이 남아 있으므로 세션1은 락을 획득한다. (세션1이 세션2보다 조금 더 빨리 요청했다.)
3. 세션1은 락을 획득했으므로 해당 로우에 update sql을 수행한다.


4. 세션2는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5. 세션2도 memberAmoney 데이터를 변경하려고 시도한다. 이때 해당 로우의 락을 먼저 획득해야 한다.
락이 없으므로 락이 돌아올 때 까지 대기한다.
참고로 세션2가 락을 무한정 대기하는 것은 아니다. 락 대기 시간을 넘어가면 락 타임아웃 오류가 발생한다. 락 대기 시간은 설정할 수 있다.


6. 세션1은 커밋을 수행한다. 커밋으로 트랜잭션이 종료되었으므로 락도 반납한다.


락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하던 세션2가 락을 획득한다.


7. 세션2는 update sql을 수행한다.


8. 세션2는 커밋을 수행하고 트랜잭션이 종료되었으므로 락을 반납한다.



DB 락 - 변경

(세션1-변경, 세션2-변경일 때)
기본 데이터

set autocommit true;
delete from member;
insert into member(member_id, money) values ('memberA',10000);

세션1

set autocommit false;
update member set money=500 where member_id = 'memberA';

  • 세션1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memberA 의 데이터를 500원으로 업데이트 했다. 아직 커밋은 하지 않았다.
  • memberA 로우의 락은 세션1이 가지게 된다.

세션2

SET LOCK_TIMEOUT 60000;
set autocommit false;
update member set money=1000 where member_id = 'memberA';

  • 세션2는 memberA 의 데이터를 1000원으로 수정하려 한다.
  • 세션1이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해서 종료하지 않았으므로 아직 세션1이 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션2는 락을 획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다. 세션2는 락이 돌아올 때 까지 대기하게 된다.
  • SET LOCK_TIMEOUT 60000 : 락 획득 시간을 60초로 설정한다. 60초 안에 락을 얻지 못하면 예외가 발생한다.
    (참고로 H2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딱 60초에 예외가 발생하지는 않고, 시간이 조금 더 걸릴 수 있다.)

세션2 락 획득
세션1

commit;

세션1을 커밋하면 세션1이 커밋되면서 락을 반납한다. 이후에 대기하던 세션2가 락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락을 획득한 세션2의 업데이트가 반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후에 세션2도 커밋을 호출해서 락을 반납해야 한다.

세션1이 커밋됨에 따라 락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하던 세션2가 락을 획득한다.
세션2는 update sql을 정상 수행한다.
세션2는 커밋을 수행하고 트랜잭션이 종료되었으므로 락을 반납한다.

세션2 락 타임아웃

  • SET LOCK_TIMEOUT <milliseconds> : 락 타임아웃 시간을 설정한다.
    • 예) SET LOCK_TIMEOUT 10000 10초, 세션2에 설정하면 세션2가 10초 동안 대기해도 락을 얻지 못하면 락 타임아웃 오류가 발생한다.

위 시나리오 중간에 락을 오랜기간 대기하면 어떻게 될까?
10초 정도 기다리면 세션2에서는 다음과 같은 락 타임아웃 오류가 발생한다.

세션2의 실행 결과

 Timeout trying to lock table {0}; SQL statement:
 update member set money=10000 - 2000 where member_id = 'memberA' [50200-200]
HYT00/50200

세션1이 memberA 의 데이터를 변경하고, 트랜잭션을 아직 커밋하지 않았다. 따라서 세션2는 세션1이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할 때 까지 대기해야 한다. 기다리면 락 타임아웃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B 락 - 조회

일반적인 조회는 락을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마다 다르지만, 보통 데이터를 조회할 때는 락을 획득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세션1이 락을 획득하고 데이터를 변경하고 있어도, 세션2에서 데이터를 조회는 할 수 있다. 물론 세션2에 서 조회가 아니라 데이터를 변경하려면 락이 필요하기 때문에 락이 돌아올 때 까지 대기해야 한다.

조회와 락
데이터를 조회할 때도 락을 획득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럴 때는 select for update 구문을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세션1이 조회 시점에 락을 가져가버리기 때문에 다른 세션에서 해당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다.
물론 이 경우도 트랜잭션을 커밋하면 락을 반납한다.

select * from member where member_id='memberA' for update;

조회 시점에 락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
트랜잭션 종료 시점까지 해당 데이터를 다른 곳에서 변경하지 못하도록 강제로 막아야 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memberA 의 금액을 조회한 다음에 이 금액 정보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떤 계산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 계산이 돈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계산이어서 계산을 완료할 때 까지 memberA 의 금액을 다른 곳에서 변경하면 안된다. 이럴 때 조회 시점에 락을 획득하면 된다.

(트랜잭션과 락은 데이터베이스마다 실제 동작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베이스 메뉴얼을 확인해보고, 의도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한 이후에 사용하자.)





트랜잭션 없이 구현하기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V1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1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 중 예외 발생");
        }
    }
}
  • formId 의 회원을 조회해서 toId 의 회원에게 money 만큼의 돈을 계좌이체 하는 로직이다.
    • fromId 회원의 돈을 money 만큼 감소한다. UPDATE SQL 실행
    • toId 회원의 돈을 money 만큼 증가한다. UPDATE SQL 실행
  • 예외 상황을 테스트해보기 위해 toId"ex" 인 경우 예외를 발생한다.
/**
 * 기본 동작, 트랜잭션이 없어서 문제 발생
 */
class MemberServiceV1Tes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A = "memberA";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B = "memberB";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EX = "ex";

    private MemberRepositoryV1 memberRepository;
    private MemberServiceV1 memberService;


    @BeforeEach
    void before()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V1(memberRepository);
    }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B);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EX);
    }

    @Test
    @DisplayName("정상 이체")
    void accountTransfer()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B = new Member(MEMBER_B,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B);

        //when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B.getMemberId(), 2000);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B.getMember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2000);
    }


    @Test
    @DisplayName("이체 중 예외 발생")
    void accountTransferEx()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Ex = new Member(MEMBER_EX,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Ex);

        //when
        Assertions.assertThatThrownBy(()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Ex.getMemberId(), 2000))
                .isInstanceOf(IllegalStateException.class);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Ex.getMember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0000);
    }

}

정상이체 - accountTransfer()

  • given: 다음 데이터를 저장해서 테스트를 준비한다.
    • memberA 10000원
    • memberB 10000원
  • when: 계좌이체 로직을 실행한다.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 를 실행한다.
    • memberA memberB 로 2000원 계좌이체 한다.
    • memberA 의 금액이 2000원 감소한다.
    • memberB 의 금액이 2000원 증가한다.
  • then: 계좌이체가 정상 수행되었는지 검증한다.
    • memberA 8000원 - 2000원 감소
    • memberB 12000원 - 2000원 증가

정상이체 로직이 정상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 데이터 제거
테스트가 끝나면 다음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AfterEach 에서 테스트에 사용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한다.
@BeforeEach : 각각의 테스트가 수행되기 전에 실행된다.
@AfterEach : 각각의 테스트가 실행되고 난 이후에 실행된다.

이체중 예외 발생 - accountTransferEx()

  • given: 다음 데이터를 저장해서 테스트를 준비한다.
    • memberA 10000원
    • memberEx 10000원
  • when: 계좌이체 로직을 실행한다.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 를 실행한다.
    • memberA memberEx 로 2000원 계좌이체 한다.
    • memberA 의 금액이 2000원 감소한다.
    • memberEx 회원의 ID는 ex 이므로 중간에 예외가 발생한다. 이 부분이 중요하다.
  • then: 계좌이체는 실패한다.
    • memberA 의 돈만 2000원 줄어든다.
    • memberA 8000원 - 2000원 감소
    • memberEx 10000원 - 중간에 실패로 로직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대로 10000원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체중 예외가 발생하게 되면 memberA 의 금액은 10000원 -> 8000원으로 2000원 감소한다. 그런데 memberEx 의 돈은 그대로 10000원으로 남아있다. 결과적으로 memberA 의 돈만 2000원 감소한 것이다!







트랜잭션 적용하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랜잭션을 어떤 계층에 걸어야 할까? 트랜잭션을 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에서 커밋해야할까?

  • 트랜잭션은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서비스 계층에서 시작해야 한다. 비즈니스 로직이 잘못되면 해당 비즈니스 로직으로 인해 문제가 되는 부분을 함께 롤백해야 하기 때문이다.
  • 그런데 트랜잭션을 시작하려면 커넥션이 필요하다. 결국 서비스 계층에서 커넥션을 만들고, 트랜잭션 커밋 이후에 커넥션을 종료해야 한다.
  • 애플리케이션에서 DB 트랜잭션을 사용하려면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동안 같은 커넥션을 유지해야한다. 그래야 같은 세션을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같은 커넥션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가장 단순한 방법은 커넥션을 파라미터로 전달해서 같은 커넥션이 사용되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기존 코드와 같고 커넥션 유지가 필요한 다음 두 메서드가 추가되었다. 참고로 다음 두 메서드는 계좌이체 서비스 로직에서 호출하는 메서드이다.

  • findById(Connection con, String memberId)
  • update(Connection con, String memberId, int money)

주의 - 코드에서 다음 부분을 주의하자!
1. 커넥션 유지가 필요한 두 메서드는 파라미터로 넘어온 커넥션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con = getConnection() 코드가 있으면 안된다.
2. 커넥션 유지가 필요한 두 메서드는 리포지토리에서 커넥션을 닫으면 안된다. 커넥션을 전달 받은 리포지토리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커넥션을 계속 이어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후 서비스 로직이 끝날 때 트랜잭션을 종료하고 닫아야 한다.

/**
 * 트랜잭션 - 파라미터 연동, 풀을 고려한 종료
 */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V2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2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 = dataSource.getConnection();
        try {
            con.setAutoCommit(false); //트랜잭션 시작
            bizLogic(con, fromId, toId, money);
            con.commit(); //성공 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con.rollback();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release(con);
        }
    }

    private void bizLogic(Connection con, 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비즈니스 로직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con, 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con, toId);

        memberRepository.update(con, 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con, 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static void release(Connection con) {
        if (con != null){
            try {
                con.setAutoCommit(true); //커넥션 풀 고려
                con.close();
            } catch (Exception e) {
                log.info("error", e);
            }
        }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 중 예외 발생");
        }
    }

}

테스트

/**
 * 트랜잭션 - 커넥션 파라미터 방식 동기화
 */

@Slf4j
class MemberServiceV2Tes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A = "memberA";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B = "memberB";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EX = "ex";

    private MemberRepositoryV2 memberRepository;
    private MemberServiceV2 memberService;


    @BeforeEach
    void before()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2(dataSour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V2(memberRepository, dataSource);
    }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B);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EX);
    }

    @Test
    @DisplayName("정상 이체")
    void accountTransfer()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B = new Member(MEMBER_B,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B);

        //when
        log.info("START TX");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B.getMemberId(), 2000);
        log.info("END TX");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B.getMember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2000);
    }


    @Test
    @DisplayName("이체 중 예외 발생")
    void accountTransferEx()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Ex = new Member(MEMBER_EX,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Ex);

        //when
        Assertions.assertThatThrownBy(()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Ex.getMemberId(), 2000))
                .isInstanceOf(IllegalStateException.class);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Ex.getMember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10000);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0000);
    }

}

이체중 예외 발생 - accountTransferEx()

  • 다음 데이터를 저장해서 테스트를 준비한다.
    • memberA 10000원
    • memberEx 10000원
  • 계좌이체 로직을 실행한다.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 를 실행한다.
    • 커넥션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 memberA memberEx 로 2000원 계좌이체 한다.
      • memberA 의 금액이 2000원 감소한다.
      • memberEx 회원의 ID는 ex 이므로 중간에 예외가 발생한다.
    • 예외가 발생했으므로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 계좌이체는 실패했다. 롤백을 수행해서 memberA 의 돈이 기존 10000원으로 복구되었다.
    • memberA 10000원 - 트랜잭션 롤백으로 복구된다.
    • memberEx 10000원 - 중간에 실패로 로직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대로 10000원으로 남아있게 된다.

트랜잭션 덕분에 계좌이체가 실패할 때 롤백을 수행해서 모든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초기화 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계좌이체를 수행하기 직전으로 돌아가게 된다.



남은 문제
애플리케이션에서 DB 트랜잭션을 적용하려면 서비스 계층이 매우 지저분해지고, 생각보다 매우 복잡한 코드를 요구한다. 추가로 커넥션을 유지하도록 코드를 변경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 스프링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해보자!

profil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