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서드에 값(원시 자료형)을 전달하는 것과 객체를 전달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그 둘의 코드의 출력값을 비교해보면서 설명하겠다.이 코드 값의 결과는 어떻게 나올 것 같은가?before update: 0after update: 0myCounter.count의 값이 U
자바에는 상속이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는 어떤 class의 기능에 추가 기능을 넣고 싶을 때 사용한다.예를 들어 동물이라는 class를 하나 만들었다고 가정하자.이 Animal 클래스를 부모클래스라 부르긴 하지만 처음에 용어는 중요하지 않다.동물마다 공통점인 큰 틀을 이
set을 왜 써야 할까 그리고 접근 제어자란 뭘까 자바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접근할 때)의 권한을 정해준 거다poppy poppy 멍멍이 코드를 봤을 때 굳이 set을 써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set을 안 쓰고 dog.name 해도 될 것 같은데 왜 set을 썼을까
poppypoppy 멍멍이렇게 코드 내에서 set을 사용해서 접근제어자로 제한둔 것을 임의로 풀 수 있다이는 어노테이션 @setter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데poppypoppy 멍멍setName 메서드를 지워도 컴파일 오류가 나지 않고 setName을 사용할 수 있다그
대상 문자열에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결과 "banana" is not included in "apple is good""is" is included in "apple is good""not" is not included i
값 비교할 때 사용하는 함수결과 "apple" and "banana" are not the same
index 위치에 있는 값을 가리킴get(0), get(2) : index가 0인 위치의 값, index가 2인 위치의 값결과get(0) : appleget(2) : kiwi
arrayslength는 배열의 길이를 알고자 할때 사용한다. Stringlength()는 문자열의 길이를 알고자 할때 사용한다.ArrayListsize()는 컬렉션프레임워크 타입의 길이를 알고자 할때 사용한다. 간단한 예제 코드결과950
두 가지 형태(1) .add(E e)(2) .add(int index, E e) ArrayList에 전달된 인자만 추가한다간단한 예시 코드(1)전달받은 인덱스 위치에 추가한다간단한 예시 코드(2)
ArrayList배열을 모두 null로 초기화하고 size를 0으로 설정간단한 예시 코드결과before: apple, banana, lemonafter: \[]
String으로 저장된 문자열 중에서 한글자만 선택해서 char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역할 간단한 예시 코드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주는 Integer.parseInt()를 사용한다.<간단한 예시 코드>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것도 Integer.parseInt()를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컴파일 오류가 뜬다Integer.parseInt()는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해주는 함수이기
예외 처리란,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예외의 발생에 대비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다.예외 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의 갑작스런 비정상적인 동작을 막고, 각 예외에 맞는 처리를 해서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실행 상태를 유지시켜준다.일단 예외라는 게 언제 발생
HashMap이란 키(Key)와 값(Value)을 묶어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 HashMap 사용법 HashMap 선언
호랑이 - 사과사자 - 오렌지이 루틴의 코드인데 만약 동물이 호랑이와 사자 말고도 원숭이, 강아지, 고양이가 추가된다면 코드가 어떻게 달라질까점점 추가하다보니 zooKeeper 클래스 안이 길어지는 게 보인다이런 반복된 복잡을 줄이는 방법이 분명 존재할텐데그 방법을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