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린 아키텍쳐와 MVVM패턴을 연결하면 유지보수성이 높아진다 근데 클린 아키텍쳐랑 MVVM이 뭔데요? Untitled Clean Architecture (클린 아키텍쳐) 키워드는 관심사(Layer) 분리 화살표는 모듈간 의존관계를 의미 → 즉 단방향 데이터 흐
Repository Pattern은 공식문서에 따르면 데이터 레이어를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데이터 레이어는 UI와는 별도로 앱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앱 부분을 나타내며 앱의 나머지 부분에서 이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ex) Activity, Fragment…ex) dataClass, Repository…세 가지 측면으로 관심사 분리컨트롤러는 View로부터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로직에 맞게 Model 변경Model에서 데이터가 변화되는 것에 따라 컨트롤러는 Vi
제가 이번에 맡은 뷰 중에 검색 뷰가 있었는데요!검색어를 통해서 웹툰을 검색하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서버선생님들이 구현한 API는 해당 글자가 들어간 웹툰리스트를 반환해주는 것이었습니다.검색 API를 연동하고 테스트를 해보는데..어라?! 왜 깜빡거리지?? 근데 알고보니

프로젝트에서 MVI를 어떻게 사용했을까요?일단 세가지 Interface를 구현해야 합니다! State는 UI에 표현되는 값 또는 데이터의 집합이며 불변의 속성(Immutable)을 가집니다!기존에 MVVM 패턴을 많이 사용하셨을텐데요, MVVM 패턴에서는 LiveD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