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Studio 프로젝트 생성 및 가상 에뮬레이터 설치하기

tabi·2023년 9월 19일
0

Flutter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Android Studio 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가상 에뮬레이터를 설치 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Path 설정하기

  • 가장 먼저 Flutter가 설치된 위치를 잡아줘야 한다.
  • New Flutter Project 클릭
  • Generators -> Flutter 클릭
  • 기존에 Flutter SDK를 설치해둔 경로를 찾아 설정해준다.
  • 이렇게 경로를 잘 설정한 후 Next

2. 프로젝트 생성

  • 프로젝트 생성 시 패키지명은 lower_case_with_underscores 규칙에 따라 작성해야 한다.
  • Project name: 원하는 이름 지정
  • Project location: 원하는 디렉토리를 프로젝트를 저장할 곳으로 지정(패키지 생성 시 lower_case_with_underscores 규칙 지키기)
    • 예를 들어 폴더(패키지)를 생성해 그 안에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넣고 싶다면, 해당 프로젝트가 들어갈 폴더명은 FlutterWorkspace가 아닌 flutter_workspace 여야 생성된다.

  • Android languageIOS language, Platforms는 필요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Kotlin이나 Swift를 모른다고 해서 앱을 만들 수 없는 것은 아니다.)

3. 프로젝트 생성 후

  • 프로젝트 생성 후 우측 하단에 무언가 다운로드 받고 있다는 표시가 뜨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
  • 이외에 우측 하단에 뜨는 팝업들은 일단 모두 닫아도 상관없다.

4. 가상 에뮬레이터 설치하기

4-1. Device Manager

  1. 우측 상단의 Device Manager 클릭, 혹은 상단 메뉴의 Tools -> Device Manager 실행

  2. Create Device 클릭

  3. 원하는 디바이스 선택 후 Next 클릭

  4. 설치했던 SDK Platforms 버젼에 맞게 System Image를 설치한다.

  • 화살표를 클릭해 원하는 버젼을 다운로드 가능하다.
  • 다운로드에는 꽤 시간이 소요된다.
  • 다운로드가 끝나면 Finish 클릭
  • 필요한 버젼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Next
  • 그대로 Finish를 클릭해준다.

4-2. 에뮬레이터 실행

  • 세모 버튼을 클릭해 실행 가능
  • 실행 화면
  • 코드를 실행하고 싶다면 실행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및 코드 파일 선택 후 세모버튼을 눌러 실행시키면 된다.
  • 디바이스가 목록에 뜨지 않는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재실행 해보자.
  • 이렇게 테스트용 main.dart 파일을 실행시켜보았다.
  • 만약 코드 수정 후 바로 에뮬레이터 화면에 적용시키고 싶다면 우상단의 번개모양을 누르면 적용된다.
profile
개발 공부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