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기본 용어 정리 -2-

tae_in·2022년 5월 16일
0

자바

목록 보기
2/8

빌드

빌드란 소스 코드 파일을 여러 과정을 거쳐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적 소프트웨어 가공물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프로그램 파일을 Arrifact로 만드는 과정)

개발자가 타이핑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독립적인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낸 것을 독립 소프트웨어 가공물이라고하고 Artifact라고 한다.

빌드 세분화

1)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한다(프로그래밍 언어 -> 바이트 코드)
2) 테스트 코드를 컴파일 한다.
3) 테스트 코드를 실행한다.
4) 테스트 코드 리포트를 작성한다. (결과)
5) 기타 추가 설정한 작업들을 진행한다.
6) 패키징을 수행한다.(가져다 쓰는 외부 소스 코드들을 하나로 묶음)
7) 최종 SW 결과물(Artifact)을 만들어 낸다.

테스트 코드: 내가 작성한 코드를 자동 테스트해주는 코드를 추가로 작성한 것
(테스트 코드의 유무에 따라서 개발 속도 및 안정성,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실행(run)

실행은 내가 작성한 코드(혹은 테스트 코드)를 컴파일을 거쳐, 작동시켜 보는 것이다.
독립 SW 가공물이 나올 수도 있고,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빌드는 독립 SW 가공물이 무조건 나오지만 실행은 SW 가공물이 나올 수도 있고 나오지 않을수도 있다.)

주의: 인터프리터 언어는 컴파일이 필요 없다.

인터프리터 언어: 자바스크립트, 파이썬과 같이 컴파일없이 인터프리터가 한줄씩 한줄씩 읽어 실행시켜주는 언어를 말한다.

빌드 툴(build tool)

  1. 소스코드의 빌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 해주는 프로그램
  2. 외부 소스 코드(외부 라이브러리) 자동 추가, 관리(버전 관리)

자바에서 쓰이는 빌드 툴의 종류

ANT(거의 안씀), Maven, Gradle

ANT

  • 설정을 위해 xml을 사용한다.
  •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
  • 복잡한 처리를 하려면 빌드 스크립트가 장황해져 관리가 어렵다. (빌드를 복잡한 간계를 넣으려고 하면 빌드 자동 코드가 장황해짐)
  • 외부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는 구조가 없다.

Maven

  • 설정을 위해 xml을 사용한다.
  • 외부 라이브러리를 관리할 수 있다.
  • 장황한 빌드 스크립트 문제 해결
  • 특정 경우에 Xml이 복잡해진다.
  • xml 자체의 한계가 있다.

Gradle

  • 설정을 위해 groovy 언어를 사용한다.(xml이 가지는 한계를 가지지 않는다.)
  • 외부 라이브러리를 관리할 수 있다.
  • 유연하게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다.
  • 캐슁이 되게 잘 되서 성능이 뛰어나다.
  • 가장 최신에 나온 자바 빌드 툴이고 신규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된다.

groovy는 JVM언어이다. groovy는 하나의 독립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여서 내가 원하는 대로 스크립트를 다 짤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