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reless LAN

이태곤·2022년 12월 4일
0

Data Communication

목록 보기
14/15

1. Introduction

  • Wired VS Wireless

    • Wired : 통신 선로가 있음 -> Infra가 있다!

    • Wireless : 통신 선로가 없음 -> Ad Hoc Network -> Infraless

  • Ad Hoc Network : Network without infrastructure
    -> 이동이 가능하고 무선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들로만 구성된 network
    -> No need a base network or an access point (only organized by devices)
    -> 문제점 : 전송거리 제한으로 A -> B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다.

  • Connection of a Wired LAN

  • Connection of a Wireless LAN


2. Wireless Characteristics

  1. Attenuation : Signal이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간다.
  2. Interference : 무선이므로 방해와 간섭이 많아 Intended sender로부터의 데이터뿐만아니라 other sender들의 데이터도 받을 수 있다.
  3. Multipath : Signal이 여러 path로 직진, 반사되어 전송될 수 있다.
  4. Error : SNR (Signal-to-Noise Ratio)

3. Access Control

  • Physical layer : wireless 에 맞는 신호가 만들어져야하므로 달라야 한다.
  • LLC : node간에 생기는 logical link에 대한 control은 동일할 수 있다.
  • MAC
    • CSMA / CD 적용 불가능 : Wireless hosts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power가 충분하지 않다.
      -> 안테나를 이용하는데 송신용, 수신용 안테나가 구별 되어있기 때문에!
    • Hidden station problem이 collision detection을 제한한다.

      1. C가 A로 데이터 전송
      2. Carrier Sensing
      3. Carrier Sensing 이후 충돌되지 않았으므로 B도 A로 데이터 전송
      -> 충돌이 A에서 발생!
      -> 송신측에서 Collision Detection 불가능!

      -> 중간에 물체가 있어서 B, C 상호간의 전송을 방해한다.
    • stations간 거리가 클 수 있다.

4. IEEE 802.11 Project

  • IEEE 802.11: wireless LAN (Wi-Fi)에 대한 specifications
  • The standard defines two kinds of services
    • BSS (Basic service set) : 하나의 Access Point에서 서비스하는 영역
    • ESS (Extended service set) : 두 개 이상의 Access Point들을 서로 연결해서 서비스하는 영역

      -> 각각의 Access point들을 연결할 때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 MAC Sub-layer : IEEE 802.11은 두 개의 MAC sublayers, protocol 규정
    • PCF : Access point가 Centralized Polling 수행
      -> Medium 접근이 특정 point에 의해 control 된다.
      -> DCF를 활용하기 때문에 DCF 동작방식에 더해 DIFS보다 데이터 전송 요청하기 / 송신하기 접근이 더 빠른 Polling 방법을 활용한다.
      -> Contention-free service
    • DCF : Medium access 분산 처리, station에 의해 CSMA/CA 수행
      -> Medium 접근이 랜덤으로 이루어진다.
      -> Contention service
      • 시간이 흘러감에따라 PCF, DCF을 적당하게 나눠서 사용한다.
    • LLC sublayer : 동일하게 IEEE 802.11을 사용
    • MAC sublayer : PCF, DCF 모두 access 가능
      1. 데이터 전송을 위해 Carrier Sensing 이후 carrier busy 확인
      2. DIFS를 기다린다.
        • DIFS : 정해진 일정 기다려야하는 시간
      3. DIFS 이후에 Minute slot을 기준으로 random 시간 선택 by back_off time
        • 본인과 같은 상황에서 같은 시간을 기다리고 접근하는 경우가 생겨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 Example
          첫번째 node : 5선택 -> 4 -> 3
          두번째 node : 2선택 -> 1 -> 0
          -> 0이 된 두번째 개체가 전송을 수행하는동안 나머지 개체들은 wait
          -> 그러나 선택한 random minute slot이 동일하면 동시에 0이 되므로 충돌 발생 (ACK을 못받았으므로 재전송 필요)
          -> 유선에서 Ethernet은 충돌 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을 해주지 않지만 무선에서 Ethernet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ACK을 보낸다.
        • Hidden station problme 해결 불가능
          -> Carrier Sensing이 불가능하므로!
    • FHSS : 전송할때마다 주파수를 다르게하여 데이터 전송
      -> Frequency hopping 패턴을 모르면 데이터를 알 수 없음 (security 강함!)
    • DSSS : 코드와 보내고자하는 데이터를 operation 하여 전송
      -> 초기에는 하나의 barker sequence당 하나의 bit만 보낼 수 있었던 구조에서 CCK-4(칩 코드당 4비트 전송), CCK-8(칩 코드당 8비트 전송) 등으로 발전됨
    • Infrared : 적외선 매체를 사용
    • OFDM : 주파수를 직교하게 분할, 다르게하여 데이터 전송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 CSMA/CA and Network Allocation Vector (NAV) : hidden station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해서 RTS, CTS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 RTS : Source가 Destination에게 보내는 현재 전송 가능여부를 묻는 Control message
    • CTS : Destination이 현재 수신이 가능함을 broadcast 하는 Control message
      -> 데이터 통신량, 진행 시간등이 명시되어 있음 (NAV)
    • RTS를 송신하고 CTS를 수신한 개체는 이후 data를 전송
    • CTS만 수신한 개체들은 다른 개체가 현재 data를 전송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NAV동안 wait
      -> Hidden station problem 해결!
    • size: RTS < CTS
      -> RTS 길이는 매우 짧아 충돌할 가능성이 낮다.
    • Virtual Sensing : NAV를 통해 주기적인 Sensing이 필요하지 않다.
      <-> Physical Sensing: 주기적인 Sensing을 수행
  • Frame Format

    • Address가 4개인 이유 : 상황에 따라 address 필드 사용이 달라진다.
    • Frame body : 0 = control message, up to 2312 = 무선 LAN 기술의 발달
    • Type : Control, user-data, management-data 등의 여부
    • Subtype : 만약 control type이면 RTS? CTS?
    • To / From DS : Distribution System으로부터 받거나 보낼 때
      -> Distribution System : BSS들을 연결 (무선 or 유선) 해놓은 시스템
    • More frag : 1이면 보낼 데이터가 더 있다.
    • Retry : 1이면 재전송 데이터이다.
    • Pwr mgt : Energy를 saving 하기 위해 access point에게 숙면모드를 알린다.
      -> 만약 숙면모드면 Access point가 데이터를 buffering하며, 주기적으로 숙면모드를 깨우기 위해 체크한다.
    • Rsvd : 추후에 확장성을 대비해서 확보해놓은 공간
  • Exposed Station Problem : Hidden station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 RTS, CTS 교환방식이 다른 station 상호간 통신을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

    1. A가 B에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RTS전송을 하는중에 C도 RTS를 들었다.
    2. A는 B로부터 CTS를 듣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3. 만약 C가 D에게 보낼 데이터가 존재했다면 방해를 받은 상황
  • Evolution of WiFi : 시간이 지남에 따라 Data Rate, Throughput 등을 개선해서 무선랜 기술이 발전되어왔다.
    -> 끝에 붙는 알파벳은 amendment

    • 802.11be features
      • 6GHz band : 320MHz wide channel
        -> 한 번에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게 됨
      • OFDMA : 단말기들의 요구사항에 따라 Multiple resource를 할당함
        -> 기존에 한 resource (주파수영역)를 하나의 단말기가 전부 차지하는 방식과 차별화 됨
      • 4K QAM : 하나의 신호에 12개의 비트를 담아 보낼 수 있음
        -> 점의 수가 4000개 (각각의 점마다 위상, 진폭이 다름)
      •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안테나를 여러개 사용
        -> 동일한 신호를 서로 다른 안테나로 송신, 수신 하므로 데이터 전송 성공 확률이 높음
        -> 여러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음
        -> 고주파 -> 람다↓ -> 거리확보가 쉬움 -> 안테나 수 증가 가능
        -> Massive MIMO Antenna: 하나의 Access Point에 안테나의 수를 증가 시킴 -> 주어진 시간에 통신가능 단말기 수가 늘어남 -> 네트워크 입장에서 Throughput이 높아짐!
      • Multi-AP Cooperation : 서로 다른 중첩된 Access Point 상호간에 Coordinated scheduling을 가능하게 한다.
        -> 간섭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 beamforming : 특정 방향으로 에너지를 송신할 수 있는 기술
        -> bss-coloring : Access Point에 색깔을 부여함으로써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받을 때 2가지 이상의 색을 받게 되면 중첩되었음을 감지하고 AP들에게 사실을 알린다. (신호의 세기를 통해 판별 -> AP들은 중복을 인지하고 채널을 바꿀 수 있게 됨)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데이터 수신시에 에러가 있지만 이를 활용해 Recovery가 가능하다면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기에게 에러를 복구할 수 있도록 전체 재전송이 아닌 추가적인 데이터만 요청하는 형태
      • TSN : 무선에서도 요청한 데이터들이 정확한 시간에 올 수 있도록 돕는 기능
      • MLO : 링크(안테나)가 여러개 있을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송,수신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
  • Bluetooth : 무선으로 짧은 거리의 Device들을 상호간에 연결해주는 기능 -> WPAN을 활용!

    • Basic Spec
      • 2.4GHz ISM, Frequency Hopping (1600hops/sec)
        -> Random Frequency Hopping : 랜덤으로 Hopping

        -> Adaptive Frequency Hopping : 일정한 패턴을 갖고 Hopping
  • Piconet : 1 primary and multiple secondary로 구성된 네트워크
    -> Primary가 Hopping pattern 결정!

  • Scatternet : 2개 이상의 Piconet을 연결해놓은 네트워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