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이태곤·2023년 9월 14일
0

Cloud

목록 보기
1/8
post-thumbnail

1.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과 필요성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IT 자원을 통해 기업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On Premise : 기존에는 기업이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IT 인프라에서 구동 되었다.

    • 장점 : 기업의 비지니스 요구사항에 맞춰 IT 자원을 구축 및 관리 가능
    • 단점 : 초기 구축 비용↑, 유지 보수↓, 확장성과 유연성↓
  • 클라우드 : On Premise의 단점을 보완하고, 언제 어디서든 IT 자원을 사용 및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등장하였다.

    •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사용한 자원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 클라우드 서비스 : 컴퓨팅 자원을 넘어,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등을 포괄하며 인터넷을 통해 모든 IT자원을 제공하는 것
  • 클라우드의 필요성

    • 민첩성 : 몇 번의 클릭으로 IT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On Premise 환경에서는 서버, 스토리지 등을 구입하고 구축하기 위한 초기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었다.
    • 확장성 : 컴퓨팅 자원(스토리지, 트래픽 등)이 더 필요하면 클라우드 자원 자체를 Scale Up or Scale Out이 가능하다.
      → Auto Scaling을 통해 자원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확장 및 축소가 손쉽게 가능하다.
    • 비용 : 사용자는 클라우드를 사용한만큼의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
      → On Premise 초기 투자 비용에 비해 저렴하며, 관리 비용 등을 클라우드 서비스에 위임하면서 비지니스 로직에 더 집중 할 수 있다.

2.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 IT 서비스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스택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클라우드에서 어느 스택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Iaas, Paas, Saas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T 인프라의 기본 요소인 Network, Storage, Server를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며 물리적인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한다.
    • Network, Storage, Server는 커스터마이징 할 수 없으며,
      OS, Middleware, Application 스택은 사용자가 직접 관리한다.
    • 사용자가 원할 때 빠르게 제공 가능하며, 사양 등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 종류 : AWS EC2, Azure

  2. Paas(Platform as a Service) : Application을 사용자가 운영하기 위한 플랫폼(실행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 보안 등)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한다.
    •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클라우드의 확장성으로 인해 트래픽 증가 등의 예상치 못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 종류 : AWS Beanstalk, Heroku

  3. Saas(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독하여 사용한다.
    • 클라우드에서 해당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보안 등을 모두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유지보수와 같은 복잡한 과정에 관여하지 않아도 된다.
    • 종류 : Google Docs, Dropbox, Slack

3.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1. 퍼블릭 클라우드 : 특정 기업 또는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가 아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 IT 자원(서버, 스토리지 등)을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소유하며 운영한다.
    • 공급자는 물리적인 자원을 여러 테넌트가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 각 테넌트에게 할당된 자원을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지만 논리적으로 격리되어있어 서로 간에 접근하지 못하다.

    • 장점
      • 비용 절감 : 사용한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 유지 보수 간결함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자원의 유지보수를 대신 하게 된다.
      • 무제한에 가까운 자원량 : 자원이 필요할 때마다 할당 받을 수 있다.
      • 높은 안정성 : 클라우드 제공자가 관리를 대신한다.
    • 종류 : AWS, Azure, GCP, NHN Cloud
  2. 프라이빗 클라우드 : 특정 기업 또는 독점해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사용자가 직접 자원을 관리한다.
    • 기업망, 사설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된다.
    • 장점
      • 높은 유연성 : 비지니스 요구사항에 맞춰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 매우 높은 보안 : 특정 사용자가 독점해서 사용하므로, 보안이 더 우수하고 더 까다로운 보안 수준을 적용할 수 있다.
      • 성능 향상 : 자원을 독점해서 사용하기때문에, 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 종류 : Openstack, AWS Outposts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On Premise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퍼블릭 클라우드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사용자 정보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제공하는 대외 서비스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실행하는 형태와 같이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 장점
      • 보안 : 민감한 정보는 프라이빗 or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실행함으로써 높은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 효율적 비용 관리 : 확장성이 요구되는 작업은 퍼블릭 클라우드, 장시간/많은 연산을 처리해야하는 워크로드는 프라이빗 or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작업함으로써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점진적인 클라우드 전환 :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워크로드를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15일

썸네일을 넣어주세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