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장 ES6 함수의 추가 기능

이로그·2024년 1월 23일
0

26장 ES6 함수의 추가 기능

26.1 함수의 구분

  •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일반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다.
  •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callable 이면서 construcot다. 메서드라고 부르던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도 callable이며 constructor다.
  •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명환한 구분이 없으므로 호출 방식에 특별한 제약이 없고 생성자 함수로 호출되지 않아도 프로로타입 객체를 생성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S6에서는 함수를 사용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명확히 구분했다.
ES6 함수의 구분constructorprototypesuperarguments
일반 함수OOXO
메서드XXOO
화살표 함수XXXX
  • 일반 함수는 함수 선언문이나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를 말하며, ES6 이전의 함수와 차이가 없다.

26.2 메서드

  • 일반적으로 메서드는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를 일컫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 ES6 사양에서 메서드는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된 함수만을 의미한다.
  • ES6 사양에서 정의한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non-constructor다. 따라서 ES6 메서드는 생성자 함수로 호출할 수 없다.
const obj = {
    x: 1,
    // 메서드
    foo() {return this.x;},
    // 일반 함수
    bar: function(){ return this.x; }
}

console.log(obj.foo()); // 1
console.log(obj.bar()); // 1

new obj.foo(); // TypeError
new obj.bar(); // bar {};
  •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고, 프로토타입도 생성하지 않는다.
  • ES6 메서드는 자신을 바인딩한 객체를 가리키는 내부 슬롯 [[HomeObject]]를 갖는다.
  • super 참조는 내부 슬롯 [[HomeObject]]를 사용하여 수퍼클래스의 메서드를 참조하므로 내부 슬롯 [[HomeObject]]를 갖는 ES6 메서드는 super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const base = {
    name: 'Lee',
    sayHi() {
        return `Hi! ${this.name}`;
    }
};

const derived = {
    __proto__: base,
    sayHi() {
        return `${super.sayHi()}. how are you doing?`;
    }
}

console.log(derived.sayHi()); // Hi! Lee. how are you doing?
  • 따라서 메서드를 정의할 때 프로퍼티 값으로 익명 함수 표현식을 할당하는 ES6 이전의 방식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6.3 화살표 함수

  • 화살표 함수는 function 키워드 대신 화살표(=>)를 사용하여 기존의 함수 정의 방식보다 간략하게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 화살표 함수는 표현만 간략한 것이 아니라 내부 동작도 기존 함수보다 간략하다.

26.3.1 화살표 함수 정의

함수 정의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할 수 없고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 해야 한다. 호출 방식은 기존 함수와 동일하다.
const multiply = (x, y) => x * y;
multiply(2, 3); // 6

매개변수 선언

  • 매개변수가 여러 개인 경우 소괄호 () 안에 매개변수를 선언한다.
  • 매개변수가 한 개인 경우 소괄호 ()를 생략할 수 있다.
  • 매개변수가 없는 경우 소괄호 ()를 생략할 수 없다.
// 여러 개인 경우
const arrow = (x, y) => { ... };
// 한 개인 경우
const arrow2 = x => { ... };
// 없는 경우
const arrow3 = () => { ... };

함수 몸체 정의

  • 함수 몸체가 하나의 문으로 구성된다면 함수 몸체를 감싸는 중괄호 {}를 생략할 수 있다. 이때 함수 몸체 내부의 문이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인 문이라면 암묵적으로 반환된다.
  • 중괄호를 생략한 경우 표현식이 아닌 문이라면 에러가 발생한다.
  • 객체 리터럴을 반환하는 경우 객체 리터럴을 소괄호 ()로 감싸주어야 한다.
  • 함수 몸체가 여러 개의 문으로 구성된다면 함수 몸체를 감싸는 중괄호 {}를 생략할 수 없다. 이때 반환값이 있다면 명시적으로 반환해야 한다.
  • 화살표 함수도 즉시 실행 함수로 사용할 수 있다.
  • map, filter, reduce 같은 고차 함수에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함수 표현식보다 표현이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다.
const power = x = > x ** 2;
power(2); // 4

const arrow = () => const x = 1; // SyntaxError

const create = (id, content) => ({id, content})
create(1, 'Javascript'); // {id: 1, content: 'Javascript'}

const sum = (a, b) => {
    const result = a + b;
    return result;
};

const person = (name => ({
    sayHi() {return `Hi? My name is ${name}.`}
}))('Lee');
console.log(person.sayHi()); // Hi? My name is Lee.

// ES5
[1, 2, 3].map(function(v) {
    return v * 2;
});
// ES6
[1, 2, 3].map(v => v * 2);

26.3.2 화살표 함수와 일반 함수의 차이

  1. 화살표 함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non-constructor다. 화살표 함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고 프로토타입도 생성하지 않는다.
  2. 중복된 매개변수 이름을 선언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화살표 함수에서 중복된 매개변수 이름을 선언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3.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을 참조하면 스코프 체인을 통해 상위 스코프의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을 참조한다.

26.3.3 this

  • 일반 함수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this다.
  • 화살표 함수의 this는 일반 함수의 this와 다르게 동작한다.
  • this 바인딩은 함수의 호출 방식, 즉 함수가 어떻게 호출되었는지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된다.
  • 이때 일반 함수로서 호출되는 콜백 함수의 경우다. 고차 함수 내부에서 호출되는 콜백 함수도 중첩 함수라고 할 수 있다.
class Prefixer {
    constructor(prefix){
        this.prefix = prefix;
    }

    add(arr) {
        return arr.map(function(item) {
            return this.prefix + item;
            // TypeError
        })
    }
}

const prefixer = new Prefixer('-webkit-');
console.log(prefixer.add(['transition', 'user-select']));
  • 위의 코드에서 TypeError가 난 이유는 map 메서드가 콜백 함수를 일반 함수로서 호출하기 때문이다. 일반 함수로서 호출되는 모든 함수 내부의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다만 클래스내부에서는 strict mode가 적용되기 때문에 this에는 전역 객체가 아닌 undefined가 바인딩 된다. 바로 이 문제가 "콜백 함수 내부의 this 문제"다.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S5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써왔지만, ES6에서는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여 콜백 함수 내부의 this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ss Prefixer {
    constructor(prefix){
        this.prefix = prefix;
    }

    add(arr) {
        return arr.map((item) => this.prefix + item);
    }
}

const prefixer = new Prefixer('-webkit-');
console.log(prefixer.add(['transition', 'user-select']));
// ['-webkit-transition', '-webkit-user-select']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참조하면 사우이 스코프의 this를 그대로 참조한다. 이를 lexical this라고 한다.
  • 만약 화살표 함수와 화살표 함수가 중첩되어 있다면, 상위 화살표 함수에도 this 바인딩이 없으므로 스코프 체인상에서 가장 가까운 상위 함수 중에서 화살표 함수가 아닌 함수의 this를 참조한다.
  • 프로퍼티에 할당한 화살표 함수도 스코프 체인 상에서 가장 가까운 상위 함수 중에서 화살표 함수가 아닌 함수의 this를 참조한다.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this 바인딩을 갖지 않기 때문에 call, apply, bind 메서드를 사용해도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를 교체할 수 없다.
const person = {
    name: 'Lee',
    sayHi: () => console.log(`Hi! ${this.name}`);
}

person.sayHi(); // Hi

// 프로토타입 객체 프로퍼티 화살표 함수 할당
Person.prototype.sayHi = () => console.log(`Hello! ${this.anme}`);
  • 위의 코드처럼 메서드를 화살표 함수로 정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메서드 함수 내부에서의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메서드를 정의할 때는 ES6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하는 것이 좋다.
  • 프로토타입 객체의 프로퍼티에 화살표 함수를 할당하는 경우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프로퍼티를 동적 추가할 때는 ES6 메서드 정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반 함수를 할당한다.
  • 클래스 필드에 화살표 함수를 할당할 수도 있다. 클래스 필드는 인스턴스 프로퍼티이므로 화살표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constructor다. 클래스 필드에 할당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참조한 this는 constructor 내부의 this 바인딩과 같다.

26.3.4 super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super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super를 참조하면 this와 마찬가지로 상위 스코프의 super를 참조한다.

26.3.5 arguments

  • 화살표 함수는 함수 자체의 arguments 바인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arguments를 참조하면 this와 마찬가지로 상위 스코프의 arguments를 참조한다.
  • arguments는 가변 인자 함수를 구현할때 유용하지만, 화살표 함수에서는 반드시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해야 한다.

26.4 Rest 파라미터

26.4.1 기본 문법

  • Rest 파라미터는 매개변수 이름 앞에 세개의 점 ...을 붙여서 정의한 매개변수를 의미한다.
  • Rest 파라미터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들의 목록을 배열로 전달받는다.
function foo(...rest) {
    console.log(rest); // [1, 2, 3, 4, 5]
}
foo(1, 2, 3, 5, 5);
  • 일반 매개변수와 Rest 파라미터는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때 Rest 파라미터는 반드시 마지막 파라미터이어야 한다.
  • Rest 파라미터는 단 하나만 선언할 수 있다.
  • Rest 파라미터는 함수 정의시 선언한 매개변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 객체의 length 프로퍼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가장 마지막에 위치해야함
function foo(param1, param2, ...rest) {}

// length에 포함되지 않음.
function bar(x, ..rest) {}
console.log(bar.length); // 1
console.log(foo.length); // 2

26.4.2 Rest 파라미터와 arguments 객체

  • arguments 객체는 유사 배열 객체이기 때문에, 배열 메서드를 사용하려면 call, apply 메서드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가변 인자 함수의 인수 목록을 배열로 직접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arguments 객체를 배열로 변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26.5 매개변수 기본값

  • 자바스크립트는 함수을 호출할 때 매개변수의 개수와 인수의 개수를 체크하지 않는다.
  • 따라서 매개변수에 인수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 ES6에서 도입된 매개변수 기본값을 사요하면 코드를 간소화 할 수 있다.
  • 매개변수 기본값은 매개변수에 인수를 전달하지 않은 경우와 undefined를 전달한 경우에만 유효하다.
  • Rest 파라미터는 기본값을 지정할 수 없다.
  • 함수 객체의 length와 arguments 객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function sum(x = 0, y = 0) {
    return x + y;
}

console.log(sum(1, 2)); // 3
console.log(sum(1)); // 1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