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로 서비스를 배포하는 방법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
S3와 CloudeFront 란?
- S3(Simple Storage Service)는 최고의 확장성의 데이터 가용성, 보안 및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며 데이터를 버킷 내의 객체(해당 파일을 설명하는 모든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 ClodeFront(CDN) 는
.html
,.css
,.js
및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빨리 배포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비스- CDN(Content Delivery Network or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제공하는 시스템
이 중에 EC2를 활용한 배포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왜 사람들은 인스턴스 OS를 우분투로 선택할까 ?
만약
naver.com
라는 도메인에 들어간다면?
1. 도메인(naver.com)이 가지고 있는 네임서버에 접속
2. 네임서버에 접속한 도메인(naver.com)과 연결된 IP 정보를 확인
3. 네임서버에서 도메인(naver.com)과 연결된 IP를 전달
4. 네임서버에서 전달한 서버의 IP 주소로 접속
5. 서버의 IP로 연결된 브라우저에 서버의 내용을 출력
도메인을 Route53이 아닌 외부(가비아 등등) 에서 구매했다면
도메인 등록 후 파란 박스( 네임서버 ) 를 구매한 사이트에 가서 등록
다음 포스팅에서 프론트 서버 배포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