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계층 - IP

taeyul_de·2025년 3월 25일
0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Routing)를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이 바로 IP(Internet Protocol)이다.


1️⃣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역할은 크게 두 가지다.

✅ 1. 논리적 주소 지정 (Logical Addressing)

각 장치에 고유한 주소(IP 주소)를 할당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함.

• 물리적인 위치(예: MAC 주소)와 달리,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전달하는 역할.

✅ 2. 라우팅(Routing)

•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의 경로를 찾음.

라우터(Router)가 경로를 결정하고 패킷을 전달함.


2️⃣ IP (Internet Protocol)

IP는 인터넷에서 장치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핵심 프로토콜이다.

✅ IP의 주요 기능

• 데이터를 패킷(Packet) 단위로 나누어 전송.

• 목적지의 IP 주소를 보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동.

• 장치 간 논리적 주소 할당(IP 주소)을 담당.

✅ IP의 특징

비연결형(Connectionless) →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착할지 보장하지 않음.

신뢰성 없음(Unreliable) → 패킷이 중간에 유실될 수도 있음.

최선형 전달(Best-effort Delivery) → 오류 검출이나 재전송 기능이 없음.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TCP(전송 계층)과 함께 사용됨!)


3️⃣ IP 주소 (IP Address)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다.

현재 사용되는 IP 주소 체계는 IPv4IPv6 두 가지가 있음.

✅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32비트 주소 체계 (예: 192.168.1.1)

• 약 43억 개의 주소 제공 (부족 문제 발생)

10진수 점(.)으로 구분된 4개 옥텟(Octet)

• 예: 192.168.0.1

IPv4 주소 체계 (A~E 클래스)

클래스시작 주소 범위사용 예
A1.0.0.0 ~ 126.255.255.255대형 네트워크 (기업, 기관)
B128.0.0.0 ~ 191.255.255.255중간 규모 네트워크
C192.0.0.0 ~ 223.255.255.255소규모 네트워크 (일반 가정, 회사)
D224.0.0.0 ~ 239.255.255.255멀티캐스트 (특정 그룹 전송)
E240.0.0.0 ~ 255.255.255.255실험용 (미사용)

✅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128비트 주소 체계 (예: 2001:db8::ff00:42:8329)

• 주소 공간이 무한에 가깝게 많음

16진수(:)로 구분된 8개 그룹

• 예: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현재 점점 IPv6로 전환 중.


4️⃣ 공인 IP vs 사설 IP

IP 주소는 크게 공인 IP사설 IP로 나뉜다.

✅ 공인 IP (Public IP)

•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IP 주소.

•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배정됨.

•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

✅ 사설 IP (Private IP)

•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

•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통해 공인 IP로 변환.

• IPv4에서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됨.

사설 IP 주소 범위:

클래스주소 범위
A10.0.0.0 ~ 10.255.255.255
B172.16.0.0 ~ 172.31.255.255
C192.168.0.0 ~ 192.168.255.255

(💡 우리가 Wi-Fi에 연결된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사설 IP를 사용함.)


5️⃣ IP 패킷 구조

IP는 데이터를 패킷(Packet) 단위로 나누어 전송한다.

IP 패킷은 크게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 IP 패킷의 구조

필드설명
버전(Version)IPv4(4) 또는 IPv6(6)
헤더 길이(Header Length)헤더 크기
서비스 유형(Type of Service)패킷 우선순위
전체 길이(Total Length)전체 패킷 크기
식별자(Identification)패킷을 구별하는 ID
플래그(Flags)패킷 분할 여부
TTL(Time To Live)패킷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홉(Hop) 수
프로토콜(Protocol)상위 계층 프로토콜 (TCP, UDP 등)
헤더 체크섬(Header Checksum)오류 검출
출발지 IP(Source IP Address)송신자의 IP 주소
목적지 IP(Destination IP Address)수신자의 IP 주소
데이터(Payload)실제 데이터

(💡 TTL(Time To Live): 패킷이 네트워크를 몇 번 통과할 수 있는지 제한하는 값. 0이 되면 폐기됨.)


6️⃣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IP는 혼자서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 프로토콜들과 함께 사용된다.

프로토콜역할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네트워크 오류 메시지 전달 (예: ping 명령어)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IP 주소 ↔ MAC 주소 변환
RARP (Reverse ARP)MAC 주소 → IP 주소 변환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사설 IP ↔ 공인 IP 변환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동적으로 IP 주소 할당

💡 정리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가 최적의 경로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도록 관리

IP(Internet Protocol)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해 전달하는 핵심 프로토콜

IPv4(32비트) vs IPv6(128비트) → IPv6는 주소 부족 문제 해결

공인 IP vs 사설 IP → 사설 IP는 NAT를 통해 인터넷 연결

IP 패킷 구조 → TTL, 출발지 IP, 목적지 IP 등의 정보 포함

ICMP, ARP, NAT, DHCP 같은 보조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됨

profile
이래서 되겠나 싶은 개발지망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