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Change 함수가 실행 된다.onChange 함수에서 Email Input의 value를 setState를 통해 업데이트 한다.onChange 함수가 실행된다.onChange 함수 안에서 Password Input의 value를 setState를 통해 업데이트 한다.onClick 함수가 실행된다.onClick 함수 안에서 fetch 함수를 통해 server에 요청(Request)을 보낸다.복잡해 보이는 것도 잘게 나눈 다음에 하나씩 차례대로 구현 하면 된다.
fetch("api주소", {
method: "POST",
body: JSON.stringify({
email: this.state.id,
password: this.state.pw,
}),
})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result) => console.log("결과: ", result));
fetch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통신을 먼저 해본다.
api 주소, body의 key 값과 value에 있는 state를 본인의 코드에 맞게 수정한다.
첫 번째 인자는 api 주소, 두 번째 인자는 http 통신에 관한 내용이다.
두 번째 인자
string 형태의 JSON으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JSON.stringify()라는 메서드를 활용해서 포맷을 기존의 Object에서 String으로 변환한다..then((response) => response.json())
첫 번째 then에서는 server에서 보내준 response를 Object 형태로 변환한다.
.then((result) => console.log("결과: ", result));
두 번째 then에서는 object로 변환한 response를 console.log로 확인한다.
여기서 원하는 로직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