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A 후기

타샤's 월드·2025년 6월 6일
0
post-thumbnail

짜잔

내 한달이 무자비하게 날아갔지만 재밌었고 유익했던것 같다.
아직도 난독증 인간이지만 독스 꼼꼼히 읽는것 많이 늘었음.
서버 이해도도 늘었고..

하여튼 좋은걸꺼야..ㅎㅎ....ㅎ.


전체 17문제.
쉬운 문제 앞쪽 10개정도는 최대한 빨리 풀고 나머지 7개에 1시간 이상 풀로 사용하는게 좋음.
그리고 복불복이긴한데 작업하는 vm이 심하게 느림.
vm 속도 이슈로 15 분 까먹는다고 생각해야함.
독스는 k8s 독스 뿐 아니라 게이트웨이api, 칼리코까지 다 주니까 다른 독스도 잘 봐놓으면 좋고.
대신 ctrl+f 안되니까 정확히 내가 원하는 게 있는 위치 달달 외워둬야함...

공부는 유데미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완강하고, 어려운 부분 practice test 한번씩 더 풀고 1차 시험.
1차 떨어지고 KodeKloud에 Mock Exam 5개 있는것까지 풀음.
다행히 2차 합격.
killer.sh은 풀긴 했는데 어차피 너무 어려워서 도움안됨.

기억나는 문제

  1. helm ->레포지토리 더하고 풀받아서 수정.api 버전 수정

  2. pv,pvc 바인딩 하고 파드에 사용하는 방법

  3. 로깅 아키텍쳐

  4. 인그레스 -> 게이트웨이 api로 변환하는것. 게이트웨이 api는 tls 시크릿 사용하는 것까지

  5. cert,csr문제

  6. custom resource에서 특정 독스?설명문?을 jsonpath로 뽑아내는거 -> 이거 은근 어려움

  7. configmap 수정

  8. 네트워크 폴리시 사용하는 calico 설치법

  9. net.ipv4.ip_forward = 1

  10. 네트워크 폴리시 파일 3개 주고 가장 적합한거 적용하기

  11. 스토리지 클래스 local-path 생성하기

  12. hpa 만들기 네임스페이스 신경쓰면서

  13. 트러블슈팅... 아마 /etc/kubernetes/manifest/kube-apiserver.yaml 문제였을텐데 못풀음

  14. clusterip 랑 nodeport 서비스 만들기

  15. 파드 3개 있는 디플로이먼트 리소스 리퀘스트 공정하게 분배하기.. 3개 파드 모두 살리기

  16. priority class 생성 및 preemptionPolicy 정의하기

  17. kubectl get pod myapp-pod -o jsonpath="{.status.podIP}" > ~/pod-ip.txt

profile
그때 그때 꽂힌것 하는 개발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