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를 윈도우랑 함께 사용했을때,
리눅스와 윈도우 시스템간 파일 이동이 쉽지 않다.
윈도우가 켜져 있다는것은 리눅스가 꺼져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물론 클라우드 파일 시스템을 써도 되지만
인터넷이 안되는 환경이라면 어떨까?
정답은 wsl
wsl 쓰듯이 마운트해서 쓰면 너무 편리함.
lsblk
하면.. 이런게 보여여야함 블록 디스크 정보.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
nvme0n1 259:0 0 931.5G 0 disk
├─nvme0n1p1 259:1 0 500M 0 part
├─nvme0n1p2 259:2 0 100M 0 part
├─nvme0n1p3 259:3 0 550.2G 0 part
├─nvme0n1p4 259:4 0 500M 0 part
└─nvme0n1p5 259:5 0 679G 0 part
여기서 내가 리눅스 분할을할때 윈도우 용으로 nvme0n1p3를 분할 했음을 알고 있음.
마운트
sudo mount /dev/nvme0n1p3 /mnt/win
근데 마운트는 일시적으로만 작동한다? 리부트 하면 적용 풀림.
그래서 /etc/fstab에 정의해줘야함.
UUID=6A8E0A9B8E0A63C1 /mnt/windows ntfs-3g defaults,rw,user,exec,umask=000 0 0
여기서 uuid는 lsblk -F 했을 때 뜨는 해당 파일 블럭의 uuid고 ntfs-3g는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 명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