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된다.
이에 비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다시 말해,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 값으로서 변경할 수 없다.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진술이다.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하다는 말은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에, 변수가 갖는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한 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한다. 값의 이러한 특성을 불변성이라 한다.
문자열 또한 생성된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다.
문자열은 유사 배열 객체이면서 이터러블이다.
유사 배열 객체
유사 배열 객체는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고,
length 프로퍼티를 갖는 객체를 말한다.
또한 length 프로퍼티를 갖기 때문에 for 문으로 순회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변경이 불가능한 원시값이므로 문자열을 인덱스로 변경하려 하여도 변경되지 않는다.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 copy); //true
이때 score 변수와 copy 변수는 숫자 값 80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 80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
var copy = score;
위 예쩨의 경우 score는 식별자 표현식으로 숫자 값 80으로 평가된다.
이때 두 가지 평가 방식이 가능하다.
1. 새로운 80을 생성해서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는 방식, 이 방식은 할당 시점에 두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가 다르다.
2. score의 변수 값 80의 메모리 주소를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 이 방식은 할당 시점에 두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가 같다.
중요한 것은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변수 할당 시점이든 두 변수 중 어느 하나의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는 시점이든 결국은 두 변수의 원시 값은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 되어 어느 한쪽에서 재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하더라도 서로 간섭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객체는 원시 값과 같이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다.
객체는 원시 값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원시 값이 원시 값 자체를 값으로 갖는다면,
객체는 할당한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참조 값에 접근할 수 있다.
참조 값은 생성된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 그 자체다.
객체를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없이 프로퍼티 동적 추가, 프로퍼티 값 갱신, 프로퍼티 자체 삭제가 가능하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은 매우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기에 성능이 나빠지므로,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으로 설계되어 있다.
객체의 이러한 구조적 단점에 따른 부작용이 있는데, 그것은 여러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var person = { name: 'Lee' };
// 참조 값을 얕은 복사.
var copy = person;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다른 메모리 주소로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이 때 두 변수는 모두 동일한 객체를 가리킨다.
두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한쪽에서 객체를 변경하면 서로 영향을 공유한다.
결국 값에 의한 전달 (원시값)과 참조에 의한 전달 ( 객체 )는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하는 면에서는 동일하다.
var foo = { a : 1 };
var far = { a : 1 };
foo === far // false
foo.a === far.a // true
객체 리터럴은 평가될 때마다 객체가 생성되므로 두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는 프로퍼티가 같더라도 다른 메모리에 저장된 별개의 객체다. 즉 두 변수의 메모리 공간에 들어 있는 참조 값은 다른 참조값이다.
하지만 두 객체의 프로퍼티 a는 원시값 1을 갖고 있으므로 값으로 평가 되며 true가 된다.
객체의 값
객체가 할당된 변수가 확보하는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참조 값이란 실제 객체가 어느 메모리 주소에 있는지를 가리키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즉 같은 곳을 가리키는 이정표를 복사하여 전달하기에 결국 같은 객체를 바라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값이 공유 된다.
원시 값
원시 타입의 값은 읽기 전용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즉 불변성이 유지된다.
다른 변수에 할당 된 원시 값이 동일할 수는 있으나,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는 별개의 값이다.
변수에 어떤 방식으로든지간에 원시 값을 할당한다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 되어 어느 한쪽에서 값을 변경하더라도 서로 간섭할 수 없다.
유사 배열 객체
유사 배열 객체는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고,
length 프로퍼티를 갖는 객체를 말한다.
또한 length 프로퍼티를 갖기 때문에 for 문으로 순회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문자열은 변경이 불가능한 원시값이므로 문자열을 인덱스로 변경하려 하여도 변경되지 않는다.
느낀 점 알게된 점
1. 객체는 원시 값과 같이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다. 그래서 일정한 규격이 정해지지 않은 Heap이라는 곳에 저장되는군?
2. 참조 값은 생성된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 그 자체라고 한다..
쉽게 생각해보면.. 원시 값은 1deps로 값을 찾을 수 있고, 참조 값은 2deps 이상의 주소로 값을 찾는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3. 왜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일까?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은 매우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기에 성능이 나빠지므로,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으로 설계되어 있다.
4. 값에 의한 전달(원시값)과 참조에 의한 전달(객체)는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하는 면에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에는 참조에 의한 전달은 존재하지 않고 값에 의한 전달만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객체와 원시값의 비교
var foo = { a : 1 }; var far = { a : 1 }; foo === far // false foo.a === far.a // true
객체 리터럴은 평가될 때마다 객체가 생성되므로 두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는 프로퍼티가 같더라도 다른 메모리에 저장된 별개의 객체다. 즉 두 변수의 메모리 공간에 들어 있는 참조 값은 다른 참조값이다.
하지만 두 객체의 프로퍼티 a는 원시값 1을 갖고 있으므로 값으로 평가 되며 true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