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express로 서버를 작성할 때, 미들웨어에 대해서 아는게 정말 중요한데, 이는 마치 함수처럼 느껴질 수 있는데, 엄연히 다르다.
명확하게 설명하려 쓰는 글이 아니라 생략하고...
server과 직접적으로 바로 연결되어 있는 middleware는 req,res등의 패러미터가 자동으로 승계됩니다.
즉, middleware 호출할 때, middleware 자체 내부에서 req를 불러다 쓰면 된다는 것
(아직 배우는 중이라 정말 못짠 코드입니다)
호출해주는 부분에서 패러미터 작성 안해도,

미들 웨어 내로 자동으로 넘어가서 막 가져다 씀
그에 반해, 내부 함수는 직접 넘겨주지 않는 이상, req,res를 패러미터로 안 받아옵니다.
(호출하는 부분에서 req,res등 넘기려면 패러미터를 직접 작성해달라는 뜻)
1번의 연장선인데, middleware에서 next(err) 하면 에러패스가 자동으로 되지만,
middleware내부의 함수 내에서 next(err) 하면, next를 패러미터로 넘겨줘도 안됩니다.

다음은 미들웨어가 아닌, 미들웨어 내부에서 호출한 함수인데, next(err)를 해도, 원래의 미들웨어에서 함수호출 다음줄의 코드가 그대로 진행이 됩니다. 즉, 이 코드는 완전히 잘못 짠 코드라는 것.
해결방법은 스스로 생각해보기...
정리가 잘 된 글이네요. 도움이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