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타입
- 기본형: 변수에 실제 값(리터럴)을 저장.
1) boolean: 논리형 값(true=참/false=거짓)을 저장할 때 사용되는 자료형
2) char: 문자를 저장할 때 사용되는 자료형
정수형
3) byte
4) short
5) int: 정수 자료형 중, 기본 자료형이다.
6) long
실수형
7) float
8) double: 실수 자료형 중, 기본 자료형이다.
- 참조형: 변수에 실제 값이 위치하는 주소값을 저장.
- String, 사용자 정의 자료형
- 값을 저장하는게 아니라, 주소값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4byte 저장 크기가 일정하다.
[표현식]
필수
1)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2) 대소문자는 구분된다.
3) 예약어는 사용 불가능하다.
4) 특수문자는 $와 _만 사용 가능하다.
권고
1) 카멜 표기법 사용(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 첫번째 단어의 첫 글자는 소문자)
2) 변수명에 한글 사용이 가능하지만 지양
3) 변수명을 의미있게 생성
상수: 변하지 않는 값
final이라는 예약어를 사용
명칭은 모두 대문자로 작성
초기화 이후, 재할당 불가
형변환: 자료의 형태를 변환하는 것.
- 컴퓨터의 동작원칙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자동 또는 강제로 데이터의 자료형을 변환시키는 것을 형변환이라 한다.
동작원칙
1) 반드시 같은 데이터 타입간의 연산을 한다.
2)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값을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변수에 대입한다.
3) 결과값 또한 동일한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byte a = 127;
short b = a;
int c = b;
long d = c;
int num = 10;
double dNum = 12.3;
double result = num + dNum;
자료형 변수명 = (변환할자료형)변수명;
int a = 10;
short b = (short)a;
float f = 3.1435f;
double d = f;
float g = (float)d;
int num = 290;
System.out.println(num); // 290
byte num2 = (byte)num;
System.out.println(num2);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