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3주차

이상인·2023년 8월 7일
0

8월 7일

RestfulAPI에서 여러개의 객체를 나타낼 경우 복수형을 쓴다.
ex) sports/soccer

필드명은 하나의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단수형으로 쓴다.

null값이 생기는 컬럼이 많은 경우 테이블을 분리해서 따로 관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제2정규화)

8월 8일

트랜잭션 범위 밖에서 엔티티를 로딩하려 할 경우, 지연 로딩이 실패하면서 LazyInitializationException과 같은 예외가 발생

org.hibernate.LazyInitializationException 오류는 지연 로딩 (Lazy Loading)을 사용하며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Session)이 이미 종료된 상태에서 연관된 엔티티를 로딩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예외

API 설계하실 때 Restful하게 설계를 위해 path에 실제 행위를 작성하지 않는다.

Cascade.ALL을 하면 delete메서드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Intellij에서 세션기능을 사용하여 코드를 수정하면

수정한 작성자에 따라 구분되어 한번에 커밋을 할 수 없다.

디버깅, slf4j를 통한 문제해결에 익숙해져야 한다
디버깅을 통해 지정 포인트 이후로 코드 한 줄 한 줄 변화를 확인하며 검사할 수 있다.
로깅을 통해 데이터가 잘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log메서드)

8월 9일

포크 후 remote를 생성하고 git remote {name} {branch} 를 통해서 작업공간을 바꾼다.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데 트랜잭셔널로 묶여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져오면 영속성 컨텍스트에 안 들어가서 더티체크 안됨
서비스 안에서 유저아이디 이런거 받고 데이터 가져오고
컨트롤러에서 왜 레퍼지토리를 바로 보냐
컨트롤러,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오면 의존성이 두 개가 연결되어있는 상태가 된다.

컨트롤러에서 변경을 할거면 서비스에서는 레퍼지토리랑 상관없는 로직만 넣거나

아니면 서비스에 다 넣거나

OSIV

PUT 전체수정, PATCH 부분수정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