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하면서 Python을 다시 연습하게 됐습니다. 코딩 테스트 환경에서 JavaScript를 지원하지 않는 기업들이 꽤 많더라고요. 예전에 Python을 써본 적이 있긴 한데, 오랜만에 다시 시작하려니 환경 설정이 낯설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환경 설정을 정리하면서 알게 된 것들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VSCode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 설치합니다.
Python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Python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설치하세요.
🚨 설치 시 'Add Python to PATH' 옵션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이 옵션은 Windows 환경에서만 필요한 설정입니다.
Mac에서는 기본적으로 터미널에서 Python이 인식되기 때문에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하면 개발이 훨씬 편리해지더라고요. 제가 사용해 보면서 특히 유용했던 확장 프로그램을 추천드립니다.
Ctrl + Shift + X를 눌러 Extensions (확장 프로그램) 탭을 엽니다.🔎 추가로 추천하는 확장 프로그램
- Pylance: 빠르고 강력한 IntelliSense 제공
- Python Environment Manager: 가상 환경 관리 편리
프로젝트마다 가상 환경을 설정해 패키지를 따로 관리한다면 의존성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python -m venv .venv
.venv\Scripts\activatesource .venv/bin/activate처음에 .venv 폴더가 눈에 안 보일 때는, VSCode에서 폴더를 표시하도록 설정!
Ctrl + Shift + P → "Python: Select Interpreter" 검색 후 실행.venv 선택가상 환경을 제대로 선택하지 않으면 패키지가 인식되지 않으니 꼭 확인하세요.
VSCode에서 프로젝트 폴더를 설정하면 작업이 훨씬 깔끔해집니다.
Ctrl + K, Ctrl + O).vscode/settings.json 파일을 생성합니다 (없을 경우).{
"python.defaultInterpreterPath": "${workspaceFolder}/.venv/bin/python",
"python.terminal.activateEnvironment": true
}
자주 사용하는 패키지를 설치해줍시다.
pip install numpy pandas matplotlib
python main.py
F5 키 → 디버깅 시작Ctrl + F5 키 → 실행만 (디버깅 없이)개발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들도 정리해봤습니다.
| 단축키 | 기능 |
|---|---|
Ctrl + ~ | 터미널 열기/닫기 |
Ctrl + Shift + P | 명령 팔레트 열기 |
Ctrl + B | 사이드바 열기/닫기 |
Ctrl + / | 주석 처리 |
이 설정은 제가 개발하면서 정말 유용했던 부분입니다. VSCode의 settings.json에 추가하면 훨씬 편리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
"editor.formatOnSave": true, // 파일 저장 시 자동으로 포맷팅 수행
"python.linting.enabled": true, // 린팅 기능 활성화로 코드 품질 향상
"python.linting.flake8Enabled": true, // Flake8을 이용한 코드 스타일 체크 (PEP 8 규칙 기반)
"editor.codeActionsOnSave": {
"source.organizeImports": true // 저장 시 자동으로 불필요한 import 정리
}
}
VSCode로 Python 개발 환경을 세팅해보았습니다! 최근에는 JavaScript를 주로 사용하다 보니 Python은 오랜만에 다뤘는데, 개발을 처음 시작할 때 쓰던 언어라 반가운 기분이 들었습니다. VSCode로 세팅하니 익숙한 IDE에서 여러 언어를 함께 작업할 수 있어 편리하네요.
알고리즘 코테 통과를 위해 힘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