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Transformation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설명 |
---|---|
IaaS | - 인프라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 - 물리적인 인프라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 -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서 자신의 운영체제나 애프리케이션을 직접 관리하고 서비스를 사용 |
PaaS | - 플랫폼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 - 인프라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플랫폼 환경까지 서비스형태로 제공 -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의 운영체제와 도구 등 플랫폼을 활용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함 |
SaaS | -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 - 인프라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전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 |
클라우드 배포 모델 | 설명 | 장점 | 단점 |
---|---|---|---|
퍼블릭 클라우드 | - 대중적으로 사용(누구나 사용 가능) - 클라우드 공급자 인프라 및 제공 서비스 활용 | - 빠른 실행, 유지 관리 용이 - 유연한 리소스 활용 - 사용량에 따른 비용 지불 등 | - 데이터가 외부에 존재하는 보안 측면의 리스크 |
프라이빗 클라우드 | - 특정 조직에서 자신의 데이터 센터에 직접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형태 - 엄격한 규제와 통제 적용이 필요한 경우 - 특정 기업 내부에서 구축, 정부 전용으로 구축한 G-클라우드 | - 비즈니스 특성에 맞는 클라우드 환경 조성 - 강력한 보안성 유지 | - 구축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듬 - 구축, 관리를 위한 많은 전문 인력 필요 |
등급 | 분류 | 평가 기준 |
---|---|---|
상 | - 민감정보 포함 - 행정 내부업무 운영 시스템 | - 기존보다 보안 강화 - 외부 네트워크 차단, 보안감사 로그 통합관리, 계정 및 접근권한 자동화, 보안 패치 자동화 항목 추가 |
중 | - 비공개 업무자료를 포함 또는 운영하는 시스템 - 중요도에 따라 행정내부 업무 시스템도 포함 | - 대부분 시스템이 해당 등급에 해당 - 보안성을 담보한 네트워크 접근 허용 - 합리적 간소화 : IaaS, SaaS 등 기존 유형 통폐합 및 불필요 항목 삭제 등 |
하 | - 개인정보 미포함 - 공개된 공공데이터 운영시스템 | - 합리화(물리적 망분리 -> 논리적 망분리) - 국내 SaaS 사업자가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물리적 분리 요건 완화 - 단 클라우드 시스템과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는 국내 상주 유지 |
업체 | 의미 | 역할 |
---|---|---|
CSP | - Cloud Service Provider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 - 자체 데이터 센터를 통한 IaaS, PaaS 등의 서비스 제공 |
MSP | - Managed Service Provider -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 | - 고객사의 시스템을 CSP 클라우드로 이관하기 위한 컨설팅, 전환, 구축 및 운영 관리 수행 |
방식 | 설명 |
---|---|
베어메탈 방식 | - Host OS 없이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는 형태 - Guest OS들은 하드웨어 바로 위에서 구동되므로 호버헤드가 적고 성능이 우수 - 대규모 엔터프라이즈급 기업 서비스 환경에 적합 |
호스트형 방식 | - Host OS 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실행되고 그 위에 Guest OS를 올리는 방식 - 기존 컴퓨터 환경에서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할 수 있기에 구성이 편리함 - Host OS에 문제가 발생 시 전체 시스템에 문제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