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가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정의
사용자가 배너 광고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더라도 무시하는 심리적 현상
배너 무시 효과는 사용자가 반복적인 광고 노출로 인해 특정 영역을 무시하는 습관을 형성하면서 발생한다.
이는 광고나 특정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배치되었으나, 원래 목적과 다르게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사용자들이 이를 인식하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현상이다.

전달하고자 하는 배너 등의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중요한 정보나, 광고효과를 잃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탐색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찾아야한다.

( 당근의 경우 기존 컨텐츠와 동일한 포맷으로 광고를 넣어 거부감을 줄인 예라고 생각된다 )
이커머스 서비스에서는 종종 할인 행사나 프로모션을 배너로 홍보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러한 배너를 자주 무시하고, 직접 상품 검색이나 탐색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프로모션 배너를 제품 추천리스트나 사용자 맞춤형 제안으로 통합함으로써 배너 무시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상품군 사이에 광고 태그를 추가한 상품을 끼워 넣는 형식으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상품에 대한 할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배너를 개인화 할 수 있다.

( 쿠팡의 사용자 추천 광고 )
배너 무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탐색할 때 중요한 정보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현상이다.
광고와 콘텐츠의 조화, 중요한 정보의 차별화, 개인화된 경험 제공 등 사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을 통해 사용자가 배너를 더 잘 인식하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통해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을 향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페이지마다 조화롭지 않은 배너광고, 즉 광고판을 만드는 것은 사용자의 거부감을 초래하거나 배너 무시 현상이 일어날 것이다...
참고 https://brunch.co.kr/@9e4090557c4c420/79
https://www.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6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