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30 김명국 멘토님 멘토링

jjj·2024년 3월 30일
0

메모

목록 보기
20/20

20240330 김명국 멘토님 멘토링

  1. 큰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코드 리뷰를 통해 다른 사람 담당 파트의 코드도 알고 있어야 한다.
    시간에 쫓겨서 그럴 여유가 없는 경우, 파트 담당자가 세션을 이용해 코드 리뷰?
  1. 타입스크립트는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처럼 사용할 수 있다.
    타입들은 많이 써봐야 익숙해진다.
    다른 소스 코드 참고, 특정 부분은 any타입(웬만하면 비추지만 어쩔 수 없이 사용할 수 있음)
    개발 생산성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써보면 좋다.
  1. Q. 고민 등록 시, 랜덤 전송 유저가 활동을 하지 않으면 유저가 답변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유저에게 할당하는 방식을 고려해봐야 한다.
  • 로그인 타임 체크,
  • 좋아요가 고민에 반영이 안되고 댓글에 반영이 되는 방향이라면, 좋아요 테이블에 worryId가 굳이 필요 한지 의문.
  1. Q. 보관함의 API 질문.
    API 쪼개는 방식이 더 낫다고 보인다.
    타입을 받아서 로직을 나누게 된다. 나누는게 이해하는데 더 괜찮아 보인다.

페이지네이션은 사실상 필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확장을 할 수 없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크게 가져오는건 최대한 지양하자. 차라리 API 호출을 많이 하자.

같은 고민에 대한 내용이라서 헷갈려할 수도 있는데 비즈니스 로직이 다른 것 같아 보인다.

예를 들어, 페이지네이션이 들어갔을 때
해결된 고민은 100개인데 해결한 고민은 5개 밖에 안되는 상황이라면?
그 5개 때문에 로직이 달라지는데 API를 줄였을 때의 장점이 크게 보이진 않는 것 같다.

  1. Q. 토큰 어디에 담아서 FE에 보내줄지?
    쿠키에 담을거면, 도메인을 맞춰야 한다.
    도메인이 달라도 사용할 수는 있다. 써드 파티 쿠키 -> 보안에 취약해서 비추천.

액세스 토큰에 담아서 보내는 것도 괜찮다. FE에서 어떻게 관리할지가 더 중요하다.

토큰에는 정답이 없다. 조금 더 고민 해보고 다음주에 한 번 더 질문을 해보자.
BE에서 어떤 방법 할지 확실히 정해 놓고 그 방법에 대해서 질문을 가져오자.

  1. Q. 유저 관리
    현재 프로젝트는 유저 관리가 핵심. 백엔드에서 계속 중요하게 고민해봐야한다.
    욕설 필터링 & 신고 시스템 도입.
    신고 시스템이 도입되면 허위 신고도 문제가 될 수가 있는데, 여기까지 고민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욕설 필터링이나 (이것도 잘못된 경우도 많다.) 신고 제도로 운영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 삭제 기능보단 -> 신고 제도로
    유저 차단 기능까지 생각해보자.
  1. 소켓은 무조건 사용하는 쪽으로!^^
  1. 코멘트
    대댓글은 테이블 1개로 무한 뎁스로 구현할 수도 있고, 리코멘트 테이블로 구현하는 방향도 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