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DE의 일종.
대표적 Java언어를 위한 IDE에는 이클립스와 인텔리제이가 있다.
👉🏻인텔리제이 다운로드
IDE
통합 개발 환경 (Inter Development Environment).
코딩, 디버그, 컴파일, 배포등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1-1. File > New > Project > New Project 선택
1-2. New Project 탭 선택

2. Name : 프로젝트의 이름을 입력
3. Location : 프로젝트가 생성될 위치 지정
4. Language : Java 프로젝트를 생성할 것이므로, Java선택
5. JDK : IntelliJ가 JDK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아무것도 보여지지 않음. (재설치 필요)

이전까지는 빌드시스템이 IntelliJ, Maven, Gradle 이렇게 3개가 있었던 것 같지만 내가 사용하고 있는 2023.3버전에서는 Maven, Gradle 두 가지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Maven vs Gradle
Maven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 도구이고 이보다 늦게 나온 것이 Gradle이다.
Gradle은 늦게 만들어진 만큼 Maven에 비해 더 나은 사용성과 성능을 제공하며, 안드로이드 앱의 공식 빌드 시스템이기도 하고 Java, C/C++, Python 등 다양한 언어에 대한 빌드를 지원함.
👉🏻Maven vs Gradle
🤔두 가지가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Gradle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인텔리제이 재설치했다! 빌드시스템에 IntelliJ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했다. 왜 없지? 왜 나만 없지?
왜때문인진 모르겠지만 설치과정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찝찝함이 사라져서 속 시원...😤
빌드시스템은 IntelliJ로 셋팅한 채로 프로젝트 재생성했다. 기존 프로젝트는 삭제했다.

cmd에서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접근 후 파일 구조 조회.

.idea폴더 : IntelliJ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
000.iml파일 : IntelliJ의 설정 파일
❗두개 모두 직접 수정하거나 삭제해서는 안된다.
형상관리를 할 때 iml파일과 .idea폴더는 ignore가 되어야한다.
협업 중에 github, gitlab등에 올라가게 될 경우 다른 개발자 파일에 덮어 쓰이게 된다.
src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 New Java Class 선택 > class Name 입력

나는 Hello라는 클래스를 입력했고, 입력한 클래스와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클래스 명과 파일 명은 반드시 동일해야한다.

public class Hello {
// Hello클래스의 시작점. main 메소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클래스에 Println("Hello!")메소드를 가진 필드out 생성
System.out.println("Hello!");
}
}
IntelliJ는 소스 코드를 입력하거나 수정하면 자동으로 저장된다. 짱편!
왼쪽 프로젝트 side에서 Hello.class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Run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파일을 컴파일하고 실행해준다.

결과

cmd 파일 확인
dir /s
위 명령어로만 class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왜지...?

tree로는 죽어도 안나옴... cmd 명령어는 좀 귀찮네.

어쨌든 class파일 생성 확인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