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포를 하면서 linux 명령어를 자주 다뤘다.
그러면서 근본을 등한시한 인간의 말로를 슬쩍 슬쩍 봐왔다. (바로 나).
그리고 내 블로그에 linux OS 사용자가 1명 들어왔다는 통계.
🙂?
똥싸개의 개발블로그(사실 거의 일기)에 왜 linux 가 들어가 있지?
나 뭐 잘못 했나
무서워진 근본충은 더 이상 근본을 외면할 수 없었다.
window 는 git 설치합시다.
먼저, 근본을 이야기하면서 유래를 설명하지 않을 수 없지.
때는 바야흐로 90년대 초..
아무튼 그 때 태어난 unix가 여러갈래로 나눠지며
WIKI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Linux_distributions#Ubuntu-based
이렇게 이어짐.
아무튼 그럼.
그래서 우리는 근본을 배울 겁니다.
이번 linux 공부를 통해, 더 이상 nohup 이 뭐여... 라고 하지 않고,
당당하게 파일을 만들고 이동시키고 조작해 스크립트를 짜도록 하자!
뿌리를 보면 알겠지만 windows
는 unix 계열
이 아니기 때문에 unix 의 명령어를 그냥 쓸 수 없다.
mac 은 터미널 열면 된다던데? (mac 안 써봄😉)
그래서 windows 사용자는 근본 Linux를 체험하고 사용하기 위해 git
을 설치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windows 에 cli
상에서
windows 명령어
를 쓰는 cmd 명령 프롬프트
가 있고 powershell
이 있다면,
unix 명령어
를 쓰는 프로그램으로는 방금 설치한 git bash
가 있다.
당장 실행시켜
git bash
는 unix 명령어를 쓸 수 없는 우리 windows 사용자에게
unix 명령어
를 써서 directory 와 파일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
기대되쥬?
맨 끝에 노란 글자는 현재 위치를 표시해주는데, 지금 ~
쥬?
~
가 뜻하는 게 기본 폴더임. HOME
이란 말입니다.
엥? 기본 폴더가 어디임?
궁금하다면 start .
를 입력해보자.
windows 창이 하나 뜹니다. - mac 에선 open .
자연스럽게 설명해보자면
.
start .
에서 .
도 명령어다. .
은 현재 위치를 의미한다.
..
은 현재 위치에서 상위 directory 를 의미한다. 부모 폴더지.
그래서 cd ..
라고 하면 상위 폴더로 이동하는거지
change directory
cd <이동할 디렉토리>
방금 얘기한 상위 폴더 ..
를 cd 뒤에 넣어보면
현재 위치가 이동했쥬?
cd ./test
.
(현재 위치) /
(안에) test
test 폴더로 이동하게 됨.
아 물론 폴더가 있을 때만 😉
그리고 현재폴더가 있는데, 굳이 ./ 를 쓸 필요가 있나요?
예. 없습니다. cd test
라고 해도 됩니다.
폴더를 만들어 볼까욤?
make directory
cd ~
으로 홈으로 돌아와서 test
라는 폴더를 만들어볼까요
mkdir <만들 폴더이름>
이제 test에 가자! 하면 갑니다
아늬 근데 폴더 안에 폴더를 또 만들고 싶다구요?
mkdir -p test2/innertest2
test2 만들고 그 안에 innertest2
test 안에 test2 가 생겼쥬?
test2 에가서 보면 innertest2 가 생겼쥬?
힘들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계속 추가합니다.